[문화뉴스] 서울역사박물관이 지난 6일 부터 5월 6일까지 기획전시실에서 '아파트 인생展'을 개최한다.
 
서울의 거주형태 중 58.9%가 아파트로 이제는 보편적인 주거공간으로 자리 잡은 아파트에 얽혀 있는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전시로 풀어냈다. 불과 30여년 만에 서울은 아파트 공화국이 되었고, 아파트는 마치 산과 언덕처럼 익숙한 풍경이 되었다. 
 
1962년 마포아파트의 실험에서 시작된 아파트의 건설은 1970년대 중산층을 대상으로 공급되면서 폭발적으로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특히 난방, 위생, 방범 등 생활의 측면에서도 아파트는 질적 향상을 기했기 때문에 가사노동에 지친 어머니들에게 바깥 활동의 자유로움을 줄 수 있었다. 이런 점에서 아파트는 중산층을 형성하는 데 영향을 주었고, 현재 서울의 대다수의 거주형태를 차지하게 되었다.
 
이번 전시에서는 1978년 지어진 후, 재건축으로 철거 예정인 서초삼호아파트 111㎡(33평)를 통째 전 옮겨 눈길을 끈다. 전시장에는 이들이 사용하던 가구 등 생활재와 아파트 내장재를 그대로 옮겨와 1980년대 전형적인 아파트의 생활모습으로 재현했다.
 
   
 
 
아파트 개발로 중산층에게는 새로운 '스위트 홈'이 마련된 반면, 서울의 빈민들에게는 최소한의 삶의 터전마저 빼앗는 결과를 낳았다. 1980년대는 상계, 목동 개발로 촉발된 철거민 운동이 곳곳에서 일어났으며 당시의 상황은 김동원 감독의 '상계동 올림픽' 다큐멘터리에 고스란히 담겨 있다. 전면 철거의 방식으로 현재도 일어나고 있는 철거의 이야기를 전시에 가감 없이 담았다.
 
할아버지·할머니에게는 아파트가 어색한 타향이라면, 아파트가 따듯한 고향으로 느껴지는 아파트 키드들도 있다. '아파트 내 고향' 코너에서는 '안녕, 둔촌주공아파트' 사례를 중심으로 아파트에 담겨 있는 우리네의 일상을 담았다. 삭막한 아파트 단지가 아닌 눈썰매장, 코끼리 모양의 미끄럼틀 놀이터 등 장소마다의 즐거운 모습을 담았다.
 
이번 '아파트 인생' 전시는 그동안 우리에게 너무 익숙하여 새롭게 보기 힘들었던, 그리고 급작스럽게 수용하여야만 했던 아파트를 다시 생각해 보는, '아파트'에 대한 진지한 고민의 기회가 되는 전시가 될 것이다.
 
문화뉴스 신일섭 기자 invuni1u@mhns.co.kr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