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참여 통해 안내판에 '이해하기 쉽고 알고싶은 정보' 담을 것"

문화재청이 각 지자체들과 함께 전국 문화재 안내판을 점검하고, 안내문안을 수정하는 등 정비에 나선다. [숭례문 / 한국관광공사 웹사이트]

[문화뉴스] 문화재청이 다음 달부터 각 지자체와 함께 전국 1만여 개 문화재 안내판의 내용과 상태를 점검하는 실태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다. 

27일 문화재청은 이 같은 계획을 밝히면서 내년까지 일차적인 정비를 완료할 것이라 설명했다. 

문화재 안내판은 그동안 전문용어가 많고, 정작 시민들이 알고 싶어하는 내용은 누락됐다는 등 끊임없는 지적을 받아왔다. 

강원도 속초 신흥사 극락보전 안내판에는 "창건 후 1750년(영조 26)과 1821년(순조 21)에 각각 중수돼 조선시대 후기의 건축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다. 건물의 크기는 190㎡로서 목조와가이며 원형 보존이 잘 되어 있다"라는 문구가 써있다. 

나무로 지은 기와집을 뜻하는 '목조와가'(木造瓦家)라는 용어를 제외하면 어렵지는 않지만, 문체가 딱딱하고 건조한 느낌을 준다.

이처럼 문화재 안내문 수정에 대한 지적은 꾸준히 제기됐다. 내용이 난해하고 친절하지 않다는 비판을 받았다. 문화재가 워낙 전문적 영역이기는 하나, 국민 눈높이에 맞추지 못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지난달 문재인 대통령은 '침류각' 안내판을 찍은 사진을 제시하며 어려운 전문용어로 안내문안이 난해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청와대 제공]

최근에는 문재인 대통령도 청와대 경내 문화재 안내판을 보고 고쳐야 한다는 발언을 했다. 

문 대통령은 서울시 유형문화재 '침류각'을 예로 들어 안내문이 너무 어렵다고 꼬집었다. 

침류각 안내판에는 "1900년대초 건축으로 규모는 건평이 78m², 정면4간, 측면2간반으로 양식은 세벌대기단, 굴도리집, 겹처마, 팔작지붕, 오량가구로 되었다"는 문구가 적혀있다. 

해당 문구만 보고는 문화재가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쉽게 이해하기 어렵다.

문화재청은 앞으로 이런 안내판을 알기 쉽고 흥미로운 내용으로 새롭게 바꾼다. 

우선 안내판의 안내문안을 국민이 직접 참여해 이해하기 쉽고, 알고 싶은 정보 중심으로 수정한다. 안내문안에는 지역 고유 역사문화가 이야기로 반영된다. 

올해 실태조사가 진행되는 대상은 서울 고궁, 청와대 인근 북악산·인왕산, 조선왕릉, 고도(古都)이자 문화재 밀집 지역인 경주·부여·공주·익산 지역 문화재 안내판 등이다. 

내년에는 조사 범위를 전국으로 확대해 노후 정도와 안내문의 난도, 문화재 관람객 수를 고려해 일부를 교체하게 된다. 조사를 통해 모인 자료는 체계적인 자료관리(DB)를 통해 보관해 활용될 전망이다. 

경복궁 자경전 십장생 굴뚝 안내판. 궁궐과 종묘에 있는 문화재 안내판은 이해하기 쉽고 친절하다는 평가를 받는다.

안내문안 작성 및 검토에는 지역 문화재에 관심 많은 학생과 교사, 문화유산 해설사, 문인 등으로 구성된 '문화재 안내판 시민 자문단'이 참여하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문화재청은 시민 자문단 운영지침을 마련해 각 지자체에 배포하고, ▲'문화재 주변 시설물 등에 대한 공공디자인 지침'에 안내문안 필수 포함요소 ▲국민이 원하는 정보 유형 ▲새롭게 바뀐 안내문안 사례 등을 담은 요약본을 만든다. 

또 문화재청은 문화재 명칭 개선 작업에도 나설 계획이다. 이를테면 태조 이성계의 능인 '건원릉'은 직관성을 살릴 수 있는 '태조 건원릉'이나 '건원릉(태조)' 등으로 표기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문화재청 관계자는 "지금까지 문화재 안내문 작성은 전문가가 했지만, 이제는 지역 시민이 참여하는 쪽으로 바꾸려 한다"고 설명하면서 "안내판 실태조사 결과는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 지속해서 정비하고 개선할 것"이라 덧붙였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