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운동 100주년 기념전 '기록 기억: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 전시

ⓒ 서울시, 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 위안부 피해자 고(故) 박영심 씨의 모습이 담긴 사진

[문화뉴스 MHN 이준호 기자] 앳된 여인의 모습, 만삭인 상태 1944년 미군이 찍은 위안부의 모습이다. 이 사진은 위안부의 참상을 담은, 대표적인 사진으로 잘 알려졌다.

이 사진을 비롯해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을 담은 대표 사진 3장의 실물이 국내 전시회에서 처음으로 공개되며, 서울시와 서울대 정진성 연구팀은 25일 서울도시건축센터에서 개막하는 3·1운동 100주년 기념전 '기록 기억: 일본군 '위안부' 이야기, 다 듣지 못한 말들'에서 한국인 위안부 사진 3장과 각종 사료를 공개한다고 18일 밝혔다.

실물이 처음 공개되는 위안부 사진은 고(故) 박영심 씨가 중국 송산수용소에서 연합군 포로로 잡혀있을 당시 만삭이었던 모습이 담긴 사진 1점과 버마(현 미얀마) 미치나 지역의 한국인 위안부 여러 명이 모여 있는 모습을 찍은 사진 2점이다. 박영심 씨는 당시 배 속의 아기는 수용소에서 유산됐다고 증언한 바 있다.

ⓒ 서울시, 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이들 사진은 아시아·태평양 전쟁 중 미군이 만든 사진 앨범의 일부로, 실물이 국내에 공개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그동안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이 소장한 사진을 스캔한 이미지로만 공개됐다.

버마 위안부 사진은 1944년 8월 14일, 박영심 씨의 사진은 9월 3일 촬영됐다. 미국은 1944∼1945년께 앨범을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 서울시, 서울대 정진성 연구팀

서울시와 서울대학교 정진성 연구팀은 지난 3년간 추진한 일본군 위안부 기록물 관리사업을 통해 실물 사진들을 찾아냈으며, 사진은 앨범 없이 낱장으로 흩어졌으나 작년 9월께 개인 소장자를 통해 확보했다.

사진은 가로 29cm, 세로 21cm로 인화된 상태이며, 보존 상태도 양호하다고 서울시는 전했다.

전시회에서는 위안부 사진 실물 3점 외에 일본인과 조선인의 귀환을 다룬 뉴욕타임스 신문 실물(1946년 3월 2일자), 쿤밍보고서 및 축섬승선자 명부 복제본, 일본군 위안부 최초 증언자인 배봉기 씨의 사진(김현옥 개인 소장) 등이 공개되며 서울대 연구팀이 중국과 오키나와의 위안부 피해 지역을 답사해 제작한 영상도 만날 수 있다.

전시회는 위안부의 증언을 생생하게 전하기 위해 주요 사료를 예술 작품과 엮어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진행되며 전시 기간 매주 주말에는 강연이 열린다.

3월 3일에는 2000년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에 남측 대표검사로 직접 참여했던 박원순 서울시장과 당시 한국위원회 부대표였던 정진성 서울대학교 명예교수의 대담이 마련된다. 앞서 2일에는 박영심 씨를 비롯해 북에서 여생을 보낸 위안부의 삶을 기록해 온 재일조선인 르포작가 김영씨가 강연자로 나선다.

전시회는 3월 20일까지 매일 오전 10시∼오후 6시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