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연대 주간논평] 인천아시안게임이 폐막을 앞두고 있다. 이번 인천아시안게임은 대회 운영 미숙과 각종 사건사고로 인해 역대 최악의 대회로 불릴만큼 '실패한 대회'로 회자되고 있다. 그리고 이런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대회 조직위 측은 반성과 자구책 마련을 위한 노력보다는 인천아시안게임의 성과에 대해 자화자찬하기 바쁜 행태를 보이고 있다. 문제는 여기에 그치지 않는다. 사실 이번 인천아시안게임의 문제는 단지 운영 미숙과 준비 부족만이 아니라는 점이다. 인천아시안게임에서 보여진 문제들은 대회 시작 전부터 이미 예견되어 있었다.

최근 한국의 지방자치단체들은 지자체장의 정치적 성과 쌓기, 지자체 홍보 등의 목적으로 무리하게 메가스포츠이벤트 유치전에 나서고 있다. 대회에 드는 예산이 수조 원에 달하는 천문학적인 금액임에도 불구하고, 지역의 여건이나 경제 상황에 대한 타당성 검토조차 하지 않는 채 대회 유치에만 몰두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인천의 경우도 크게 다르지 않다. 인천은 이번 아시안게임에 사용한 2조 5천억원 중 2조원에 달하는 비용을 경기장 건립과 인프라 구축과 같은 SOC 산업에 쏟아 부었다. 세계의 많은 도시들이 경제적 부담으로 인해 메가스포츠이벤트 유치를 포기하기도 하도 혹은 대회를 개최하더라도 기존의 인프라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식이 최근의 추세이다. 하지만 인천시는 기존 경기장을 리모델링해서 사용하라는 정부의 권고를 무시하고, 무리하게 주경기장을 포함한 많은 경기장을 신설했다. 그 과정에서 인천시는 막대한 액수의 지방채를 발행했고, 현재 예산 대비 채무비율은 35.7%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니다. 이렇게 지어진 많은 경기장 및 시설들에 대한 사후 활용 방안도 미비하다. 2002년 한일월드컵 당시 막대한 예산을 들여 많은 경기장을 지었지만, 사후 활용 방법을 찾지 못한 채 운영 적자만 기록하고 있는 사례는 곧 인천의 미래가 될 것이다. 이번 인천아시안게임도 도시의 규모에 대한 고려와 적절한 활용방안에 대한 고민보다는 우선 지어놓고 보자는 식으로 추진되어 대회 이후에는 골칫덩이로 전락할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대회가 끝난 후에 사후평가 없이 해산해버리는 현재 조직위원회의 방식도 문제다. 막대한 예산 투입에 대한 책임을 지어야 하는 사람이 조직위 해산을 통해 숨어버리면서 비슷한 문제가 반복해서 일어나고 있다.
 
이미 메가스포츠이벤트를 둘러싼 문제들은 문화연대를 비롯한 시민사회단체들에 의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지방정부는 대회 유치가 엄청난 경제적 효과를 유발한다고 홍보하지만, 대회 유치 및 진행 과정에서 투입되는 막대한 국고와 대회 이후 벌어지는 지자체의 재정적자 문제, 대회 이후 방치되는 경기장과 시설 문제는 그러한 주장을 무색하게 한다. 환경문제는 또 어떠한가. 4년 후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의 경우, 활강경기장 건설을 위해 500년 된 가리왕산의 원시림을 베어버리는 등 많은 환경문제를 양산하고 있다. 심지어 건설자본과 결탁한 각종 불법과 탈법이 횡행하기까지 한다. 천문학적인 국민의 세금이 낭비되고 있다.
 
한국은 2018년 또 하나의 메가스포츠이벤트인 평창동계올림픽을 앞두고 있다. 이미 대회 유치와 경기장 건설 과정에 많은 잡음이 들려오고 있지만, 최소한 이전의 실수를 반복하는 일은 없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이번 인천아시안게임에 대한 철저한 평가와 함께 제기된 문제에 대한 해결 방안이 만들어져야 한다. 유치과정, 준비과정, 대회진행과정, 사후관리문제까지. 인천아시안게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감사가 필요하다. 그리고 이를 통해 메가스포츠이벤트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관리와 평가시스템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지역주민과 국민을 위해 유치한 메가스포츠이벤트인데, 적어도 골칫거리로 전락하고 지역주민과 국민에게 부담이 되지는 말아야지 않겠는가.
 
2014년 10월 2일
[글] 문화연대 
*본 칼럼 내용은 본지 편집방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문화뉴스 편집국 press@mhns.co.kr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