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국제 2인극 페스티벌 기획초청작 극단 후암의 차현석 작 연출 20세기 작가

 

[글] 문화뉴스 박정기 (한국희곡창작워크숍 대표)
pjg5134@mhns.co.kr 한국을 대표하는 관록의 공연평론가이자 극작가·연출가.

[문화뉴스] 차현석(1974~)은 서울예술대학 극작과, 고려대학교 북한학과 석사, 중앙대예술대학원, 그리고 고려대학교 일반대학원 영상문화학과 박사다. 2003년 동아대학교 주관 동아문학상 '시계' 희곡상 당선작가다.

작품으로는 2001년 극단 후암 창단공연 <눈내리는 밤> 작 연출, 셰익스피어 <오셀로> 제작, 각색 연출, 2002년 산자와 죽은자가 함께 보는 <구명시식> 연출, 2003년 스타시티 1관 개관기념공연 <사랑, 영혼, 그리고 춤> 셰익스피어 <리어왕> 각색 연출, 재공연 셰익스피어 <리어왕>, 2004년 서울하이페스티발 참가(퍼포먼스 연출) 서대문 형무소, SK 창립51주년 기념콘서트 <미래를 향하여> 제작 연출, 2006년 한.일 평화콘서트 제작, 2007년 대학로 스타시티2관 개관 및 주식회사 이지 컨텐츠 그룹 설립, ㈜이지컨텐츠그룹 주관 <색깔 놀이터 전시> 제작, 2008년 대학로 스타시티 3관 개관, 스타시티3관 개관기념공연 창작뮤지컬 <온리 러브> 작 연출, 2009년 연극 <충주시대> 각색 연출, 2009년 폭스캄마앙상블제작 오페라 <라트라비아타> 무대총감독, 2004년 9.11 테러추모기념 <뉴욕진혼제> 작 연출, 2005, 2007년 일본아사히야마 음악제 참가 한국 측 PD, 2010년 이후 <햄릿> <오셀로> <맥베스> <리어왕> 각색 연출, <침팬지-인간보고서> 작 연출, 오페라 <현해탄> 작 연출, 오페라 <햄릿> <라 트라비아타> <마술피리> <흑백다방> <칸사이의 주먹> <자이니치> 등을 연출했다.

2011년 오페라 <햄릿>으로 대한민국 오페라 대상, 월전문화재단상 , 2013년 <맥베스-미디어 콤플렉스>로 대한민국연극대상 신인 연출상, 2014년 <흑백다방>으로 2인극페스티벌 최우수 작품상, 희곡상, 2015년 연극 <흑백다방> 작·연출로 서울연극인대상 우수작품상, 동경타이니 알리스 페스티벌 특별상, 2016년 <칸사이 주먹>으로 광주국제평화연극제-광주평화연극상 등을 수상했다. 현재 대학로 스타시티·극단 후암 대표,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숙명여대 문화관광학부 겸임교수다.

<20세기 작가>는 현재 자주 거론되고 있는 방송작가와 보조 작가의 이야기다.

1세대 방송드라마 작가로는 이서구, 김희창, 임희재, 한운사, 조남사, 이용찬, 유 호, 김동현 차범석, 김광섭 등이 있고, 2세대로는 김기팔, 이은성, 윤대성, 신명순, 윤혁민, 신봉승.. 그 외의 몇 명의 작가가 흑백 TV방송시절 원고지에 방송드라마를 집필했다. 작가 자신이 방송드라마 원고를 직접 썼지 타자기를 사용하는 작가도 거의 없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당시 소설가 중에는 타자기를 사용한 작가는 몇 명 있었다. 당시에는 방송작가가 보조 작가나 조수를 쓴 적도 없었고 그런 생각조차 못했던 시절이다. TV방송 칼라시대가 열리면서 수상기 수가 늘어나고 시청률이 높아지면서 방송국 수가 증가하고, 방송드라마가 다수 제작되면서 인기방송작가에게 방송극본 주문이 늘어나자, 기일 안에 대본을 완성하려고, 새로 등용된 작가나 보조 작가를 두고 방송드라마를 쓰는 사례가 생겨나기 시작했다.

현재는 대다수의 인기작가가 다수의 보조 작가를 거느리고 방송드라마를 집필한다. 그리고 보조 작가를 공개 모집하고, 작가 자신이 프로덕션을 차리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렇기에 방송드라마는 개인의 창의력보다는 공동창작이 대부분이다.

   
 

하기야 미술작품도 직업화가가 데생을 해주거나 화폭의 바탕을 그려주면 그 위에 색칠만을 하고서도 버젓이 자신의 작품인양 전시회까지 하는 사례가 있는가 하면, 요즘은 영화가 동시녹음시대지만 초창기에는 촬영 따로 녹음 따로 했기에, 영화배우 중 모습은 그럴 듯해도 대사 한마디조차 제대로 할 능력이 있는 배우가 드물어, 모든 출연영화를 성우가 녹음을 대신 했으니, 사실 반쪽만 배우라 할 수 있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젓이 예술원 회원이 되는 걸 보거나, 보조 작가들이 써준 원고로 방송을 내보내고 인기방송작가 노릇을 하던 인물이 예술원 회원이었던 것을 보면, 최고 권위의 예술원이 신빙성이 떨어지면 어쩌나 하는 걱정이 들기도 한다.

무대는 방송작가의 집필실 겸 거실이다. 중앙에 작은 금부처상이 위에 놓인 모니터가 있고, 그 앞에 빨래널이가 놓였다. 하수 쪽에는 타자기가 놓인 책상과 의자가 있고, 상수 쪽에는 동물인형이 놓인 소파가 있다. 방 가운데 인형이 들어있는 플라스틱 통과 함께 잡다한 세간이 실내에 배치되어있다.

연극은 도입에 방송작가의 집필실 겸 거실에 보조 작가가 방문하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방문 노크 소리에 방송작가는 황급히 빨래널이를 치우고 의자에 앉아 들어오라고 소리를 친다. 객석 입구를 통해 보조 작가가 등장을 하는데, 검은색 안경에 검은색 의상차람에다가 검은색 여행용 트렁크를 끌고 요란한 음악소리와 함께 등장을 하는 것이 마치 맹인처럼 보이고, 또 전철에서 "사라 브라이트만(Sarah Brightman)"이 부르는 "넬라 판타지아(Nella Fantasia)"를 크게 틀어놓고 음악 CD를 판매하는 행상처럼 보이기도 한다. 게다가 마이크까지 꺼내 들고 이야기를 시작하니 당연히 방송작가는 행상이 들어온 것으로 알고 나가라고 소리친다. 그러자 행상처럼 보이던 인물은 모자와 안경을 벗고 무릎을 꿇고는 방송작가에게 선생님 하며 자신의 신분을 밝힌다.

방송작가는 보조 작가가 필요 없다고 하고 보조 작가는 조수로 써주기를 간청하며, 후에는 자신의 원고다발을 내 보이기도 한다. 방송작가가 거절을 하고, 보조 작가는 써 달라며 매달리니, 방송작가는 인형 담긴 플라스틱 통에서 인형을 하나하나 꺼내 보조 작가에게 던지기도 한다. 두 사람의 티격태격하는 모습이 흥미롭게 진전되면서 두 사람은 "마지막 잎새(The Last Leaf)"를 쓴 작가 "오 헨리(O. Henry, 1862–1910)"를 사숙(私淑)하는 공통점이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방송작가는 각자 자신의 창의력을 바탕으로 집필을 하는 게 원칙이고 또 중요하다며 보조 작가 쓰기를 거절하는 고집을 굽히지 않으니, 보조 작가는 요즘은 보조 작가를 쓰는 게 대세라며, 모니터를 켜서 채널 외의 방향에서 들려나오는 잡음을 파도소리처럼 들리도록 음향을 조절해 가면서 큰 물결처럼 밀려오는 대세를 외면하지를 말라고 하지만, 방송작가에게는 그 소리가 당나귀 귀에 찬송가 부르기 격인 것을 알고는, 보조 작가는 모니터 위의 부처를 쓰러트리고 상수 쪽 소파에 가서 앉는다. 대단원에서 방송작가는 하수 쪽 책상에 앉아 타자기로, 보조 작가는 상수 쪽 의자에 앉아 컴퓨터 노트북으로 집필을 하는 장면에서 연극은 끝이 난다.

   
 

윤상호가 방송작가로, 원종철이 보조 작가로 출연해 호연과 열연으로 연극을 이끌어 가는 것이 마치 연기의 경연장을 방불케 해, 관객을 시종일관 극 속에 몰입을 시키고 대단원에서 우레와 같은 갈채를 이끌어 낸다.

기획 후플러스, 조명 이준철, 조연출 권윤해 등 제작진거ㅘ 기술진의 열정과 노력이 하나가 되어 극단 후암의 차현석 작 연출의 <20세기 작가>를 창의력과 연출력 그리고 연기자의 기량이 조화를 이룬 한편의 걸작 연극으로 창출시켰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