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농가와 함께하는우리 땅콩 지킴이

출처: 한국농수산대학, 고창이엠푸드

[문화뉴스 MHN 김인규 기자] 지역 농가와 함께하는 우리 땅콩 지킴이 고창이엠푸드 이누리 실장을 소개한다.

이누리 실장의 아버지는 미생물 농법에 뜻을 두고 농사를 농업으로 일궈 왔다. 자신의 일에 소명을 느꼈기에 후계자가 없는 것을 아쉬워했다. 이에 아버지가 평생 묵직하게 자신의 길을 걸어온 것을 알고 있던 막내딸은 망설임 없이 농업의 길을 선택했다. 농사를 농업으로 거듭나게 하기 위해 10개 이상의 직업적 역할을 소화해 내고 있는 이누리 실장의 분투기를 들어 보자.

이누리 실장은 원래 고등학교를 마치고 공대에 진학하고자 했다. 어려서부터 씩씩했던 만큼 남자들과의 경쟁이라면 자신이 있었다. 하지만 공대를 목표로 입시 준비에 한창이던 어느 날 아버지가 농업을 공부해 보면 어떻겠냐는 말을 던졌다. 평소 진중하기로 소문난 아버지였기에 그냥 툭 던진 말로는 들리지 않았다. 아버지가 농업에 얼마나 공을 들여 왔는지 잘 알고 있었던 이누리 실장은 고심 끝에 아버지의 뒤를 이어 농업의 길을 걷기로 마음 먹었다. 진로도 공대에서 한국농수산대학으로 바꿨다. 주위의 반응은 한결같이 여자가 하기 힘든 일이라며, 이 실장을 만류했다고 한다. 하지만 농업에도 분명 여자의 섬세함이 필요한 부분이 있을 거라는 확신을 가지고 시작했다.

출처: 한국농수산대학, 고창이엠푸드

2010년 한국농수산대학 특용작물학과에 입학했을 때 고등학교를 갓 졸업한 여학생은 이 실장을 포함해 채 5명도 되지 않았다. 평균 나이가 20대 후반쯤 되는 동기들 사이에서 이 실장은 막내로 귀여움을 많이 받았다. 당연히 학교생활은 즐거웠다. 2학년 때 나갔던 장기 현장실습에서 많은 것을 보고 배웠고 다른 해외연수도 놓치지 않고 다녀왔다. 유럽과 일본, 호주 등 선진국을 탐방하면서 로컬푸드로 성공한 사례를 일일이 눈으로 보고 확인했다. 

이를 통해 어떻게 접근하면 농업에서 자신의 역할을 찾을 수 있을지 고민했다. 학교를 졸업한 후에는 농촌진흥청에 들어가 4년 동안 토양과 종자를 연구했다. 본격적으로 농업에 뛰어들기 전 과학 지식의 습득은 필수였다. 62곳의 농가와 함께하다 이렇게 7년여의 준비 기간을 마친 후 이 실장은 고창으로 돌아와 아버지가 이끄는 고창이엠푸드에 합류했다.

출처: 한국농수산대학, 고창이엠푸드

이누리 실장의 아버지 이경수 대표는 농사와 농업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농민들이 열심히 지은 농사를 농업으로 성장시켜 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이 시대에 우리가 할 일이라고 누누이 말했다고 한다.

이런 이경수 대표의 뜻으로 고창이엠푸드는 처음부터 영농조합법인으로 출발해 주위 농가들에게 유기농 농법을 전파하면서 상생 발전하는 협력 체계를 만들어 나갔다. 2017년부터는 고창이엠 명품땅콩작목반을 만들어 40년 이상 땅콩을 재배해 온 어르신들도 새롭게 땅콩을 공부하며 함께 밭을 일구고 있다. 땅콩은 파종부터 수확, 가공까지 사람 손이 아주 많이 가기에 협업이 필수적이다. 현재 조합에 참여하고 있는 62곳 농가는 재배과정의 품앗이부터 소득을 높이기 위한 출하시기 조절까지 모든 것을 함께한다.

이름도 맛도 뛰어난 명품 땅콩을 위해

이 실장이 합류하면서 고창이엠푸드에는 전에 없던 활력이 넘치기 시작했다. 이 실장은 땅콩을 심는 시기와 수확시기를 데이터화했고, 농작물과 가공식품 판매를 위한 온라인마켓도 시작했다. 또 전국에서 열리는 오프라인 마켓에도 열심히 참가해 소비자를 직접 만나고 판매 통로를 늘렸다. 아버지가 일군 터전 위에 자신이 할 수 있는 일, 함께 땅콩을 재배하는 62곳의 농가가 같이 성장할 수 있는 일을 찾다 보니 언제부터인가 이 실장에게 ‘땅콩 처자’ ‘땅콩 딸내미’라는 수식어가 붙기 시작했다. 이 실장이 주력한 일 중에 가장 힘들면서도 보람이 있었던 것은 농촌진흥청과 손을 잡고 기능성 땅콩을 선별해 새로운 수익의 원천으로 삼은 일이다. 대표적으로 ‘케이올’ 땅콩은 슈퍼푸드라 주목받고 있는 브라질너트 보다도 올레산 함유량이 높고, 산패가 일반 땅콩보다 무려 9배나 늦게 진행된다. 사람에 게 정말 좋은 땅콩이란 확신을 가지고 2015년부터 회원 농가들과 함께 ‘케이올’을 재배하기 시작했다. 

출처: 한국농수산대학, 고창이엠푸드

하지만 친환경 농법으로 지은 ‘케이올’ 땅콩은 알이 작고 수확량도 적어 기능성 땅콩을 알 리 없는 소비자들로부터 외면을 받았다. 해가 거듭될수록 ‘케이올’ 땅콩을 포기하는 농가들이 늘어만 갔다. 판단이 틀린 걸까 하는 회의가 엄습해 왔다. 하지만 이 실장은 포기하지 않았다. 주위 농가들을 설득해 재배를 계속하는 한편 홍보와 마케팅에 힘을 쏟았다. 정성이 통했는지 ‘케이올’ 땅콩이 여러 방송에 소개되면서 찾는 사람들이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땅콩 처자에서 우리 땅콩 지킴이로!

얼마 전에 농촌진흥청에서 개최한 농업박람회에 다녀온 이 실장은 '농업·농촌 신규직업 100선'이란 책을 보고 농촌 일들이 젊은 여자라고 할수 없는 건 아니라는 생각이 틀리지 않았음을 확인했다. 농촌자원을 코디하고, 첨단기술을 도입하고, 다양한 제품들과 컬래버레이션을 하는 등 일을 찾다 보면 성별을 가리지 않고 할 일이 무궁무진하다. 아이스크림이나 화장품 같은 다양한 제품에 땅콩을 접목해 생산과 유통을 꾀하는 일부터 젊은 감각으로 다양한 패키지를 개발하고 전문점을 운영하는 일까지 못하는 일이 없다.

출처: 한국농수산대학, 고창이엠푸드

이 실장은 띵굴마켓이나 보부상마켓 같은 전국의 유명 마켓들에서 소비자들을 직접 만나는 일도 게을리하지 않는다. 요즘은 대세가된 유튜브 홍보를 위해 짬짬이 동영상을 찍고 편집하는 것도 배워서 시도하고 있다. 이런 활동 덕에 각종 방송과 매체에서 ‘땅콩 처자’를 찾아오면서 그는 유명인이 되었다. 모두가 우려했던 ‘젊은 여자'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드디어 성공의 문턱에 들어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실장은 여전히 매일 새벽 5시에는 어김없이 땅콩밭에 나간다. 밤새 무럭무럭 자란 땅콩을 살펴보며 잡초를 뽑는 것으로 하루를 시작한다. 어느 것 하나소홀할 수 없는 작업을 하루하루 게을리하지 않고 해내는 타고난 성실함. ‘땅콩 처자’ ‘땅콩 딸내미’에서 ‘우리 땅콩 지킴이’로 역할을 더 해내고 싶다는 그의 포부, 그의 성장이 어디까지 이어질까. 돌아오는 차 안에서 본 고창의 들판은 끝이 보이지 않았다.

이 실장은 마지막으로, "학교 다닐 때 농업을 좋아서 선택한 사람들도 만나고, 승계받아서 선택한 사람들도 만났습니다. 각자의 입장마다 어려움이 있겠지만, 농업 안에서는 생각보다 다양한 역할이 필요합니다. 자신의 역할을 꼭 생산자로만 한정하지 말고 넓게 봤으면 합니다. 농업을 자신의 꿈을 이루어 가는 다양한 공간이자 터전이라 생각한다면 할 수 있는 일이 많아지지 않을까요."라며 자신의 농업에 대한 생각을 전했다.

-----

농장정보 :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이엠푸드
경영유형 : 가족경영

시설 규모 : 9만 5000평(62곳 농가)
생산 목표 : 현재 연간 6톤에서 최종 목표 연간 20톤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