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극단의 김윤철 예술감독 기군상 작 오수경 역 고선웅 각색 연출의 조씨 고아 복수의 씨앗

 

[글] 문화뉴스 박정기 (한국희곡창작워크숍 대표)
pjg5134@mhns.co.kr 한국을 대표하는 관록의 공연평론가이자 극작가·연출가.

[문화뉴스] 기군상(紀君祥)은 원대(元代) 잡극 작가로, 천상(天祥)이라고도 한다. 그는 대도(大都) 사람이며 생몰년을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일부 연구자들은 ≪녹귀부(錄鬼簿)≫에 기군상이 13세기 후반 원 세조(世祖) 지원(至元) 연간(1264∼1294)에 활동했던 정정옥(鄭廷玉)·이수경(李壽卿) 등과 동시대인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근거로, 원대 세조 때 사람으로 추정하기도 한다.

그의 작품은 잡극 <여피기(驢皮記)>, <판차선(販茶船)>, <송음몽(松陰夢)>, <조씨 고아(趙氏孤兒)>, <한퇴지(韓退之)>, <조백명착감장(曹伯明錯勘贓)> 6 종이며, 현재 <조씨 고아> 완정본과 <송음몽> 곡사(曲詞) 1절(折)만이 남아 있다. 원대 극작가 기군상의 <조씨 고아>는 18세기 초에 이미 프랑스어로 번역, 소개되었을 만큼 동서고금에 널리 읽히는 비극 작품이다. 당대 유명 작가이자 철학자였던 볼테르는 이 작품을 유럽의 다른 어떤 작품보다 출중한 걸작이라 격찬했다.

이 작품은 ≪사기(史記)≫에 나오는 춘추(春秋) 진(晉)나라 영공 때의 간신 도안고(屠岸賈)와 충신 조순(趙盾)에 관한 비극적인 이야기를 극화한 것이다. 기원전 6세기 경, 우매하고 무능한 진나라 영공은 간신 도안고(屠岸賈)를 총애하여 그에게 벼슬을 내리고 병권을 준다. 정무를 관장하던 조순(趙盾)과 사이가 좋지 않았던 도안고는 조순을 모해, 반란죄를 덮어씌워 조 씨 일가를 몰살시킨다. 조순의 아들 삭과 부인 장희 공주는 화를 면하지만 도안고는 조삭을 자살하게 만들고 만다. 공주 또한 얼마 안 있어 아들을 낳고 조씨 가문의 유일한 혈육인 그 아이를 가족의 주치의였던 정영(程嬰)에게 부탁하고는 스스로 목숨을 끊는다.

정영(程嬰)은 약상자에 아이를 숨긴 채 몰래 빠져 나오는 데 성공하지만, 아이를 찾기 위해 혈안이 된 도안고(屠岸賈)의 눈을 피하기 위해 자신의 친아들과 바꿔 치기 해 죽게 만들고 도안고(屠岸賈)를 아이의 양아버지로 삼게 해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그 역시 도안고(屠岸賈)의 수하로 들어가 굴욕적인 삶을 살게 되고 아이는 아무 것도 모른 채 두 아버지를 모시고 성장한다.

그리고 그 아이인 정발이 20세가 되던 해, 정영(程嬰)은 자신이 쓰고 그림으로 그려서 만든 조 씨 일가의 멸족사건과 그것을 주도한 장본인 도안고(屠岸賈), 조 씨 가문의 유일한 혈육이 피신을 해 목숨을 보전하도록 만들고, 그것을 도와 준 은인 공손저구 등 그 전모를 밝힌 액자를 펼쳐 보여주고, 그 아이 정발이 바로 조 씨 고아임을 알리지만, 그것을 반신반의하는 모습에 자신의 팔목을 잘라, 복수를 결심하도록 만든다. 그 장면을 보고 진정임을 확신한 조씨 고아는 복수의 칼을 높이 뽑아들고, 가문의 원수인 도안고(屠岸賈)를 살해한다. 진실이 밝혀지자 진(晉)나라 왕 영공은 억울하게 죽은 조순(趙盾) 대신 조씩 고아로 하여금 부친 조순(趙盾)의 재상 직을 이어가도록 윤허(允許)한다는 내용이다.

   
 

<조씨 고아>는 고아를 중심으로 고아를 지키려고 하는 인물과 고아를 찾아 없애려고 하는 인물 간의 갈등을 통해 유교적인 봉건사상과 권선징악을 보여 주고 있다. 따라서 이 작품은 죄 없이 박해당하는 선량하고 올바른 사람을 구하려는 정의 실현에 대한 공감대 형성으로 동서고금에서 많은 반향을 일으켜 왔다.

2006년 극단 미추가 예술의전당에서 공연한 손진책 예술감독, 티에친신 연출의 <조 씨 고아>, 2015년 11월 동숭아트센터 동숭홀에서 극단 해를 보는 마음의 한명구 예술감독, 찌쥔샹(紀君祥) 작, 문성재 역, 안경모 각색, 황준형 연출의 무협활극 <조씨 고아(趙氏孤兒)>도 성공작이었던 것으로 기억된다.

연출을 한 고선웅은 중앙대 신문방송학과 출신이다. 연출가와 작가를 기본으로 연극, 뮤지컬 등의 각색도 한다. 2005년 12월 극공작소 마방진을 창단하여 대표, 2010년 9월부터는 경기도립극단의 예술감독. 2011년 팸스초이스로 선정된 <칼로 막베스>는 마방진 창단 5주년 기념작으로 2010년 서울국제공연예술제에서 초연되었다. <칼로 막베스>를 통해 고선웅은 처음으로 동아연극상 작품상과 연출상을 받았다. <홍도> <탈출> <맥베드> <산 허구리> <곰의 아내> <한국인의 초상> <강철왕> 그 외의 다수 작품을 연출했다. 2015년 국립극단 고선웅 연출의 <조씨 고아 복수의 씨앗>은 동아연극상과 대한민국연극대상, 올해의 연극 베스트3 등 국내 연극 상을 줄줄이 받는 등 작품성을 인정받았고, 2016년 10월 중국 베이징 공연에서도 호평을 받았다.

무대는 삼면 벽에 여러 개의 갈색 휘장을 늘어뜨리고 그 휘장을 열고 닫으며 등퇴장 로 뿐 아니라 장면변화에 대처한다. 천정으로부터 긴 철 줄에 매단 참수형 칼, 쟁반, 고문용 몽둥이, 보름달, 수레바퀴, 잘린 손목 등을 극 전개에 맞춰 내려뜨려 사용하고, 무대 중앙에 세로로 된 긴 통로를 만들어 하강시켜 내리막길을 조성하고, 상수 중앙이나 하수 쪽에도 사각의 구덩이를 조성해 하강 또는 상승시켜 모래나, 무덤자리로 조성되고, 또는 음식이 담긴 작은 상이 솟아오르기도 한다.

2부에는 두루마리화첩에 복수의 연대기를 기록한 그림이라든가 무예대결장면에 사용되는 검 등의 병기도 적절한 느낌이다. 출연자들의 분장이나 의상 또한 시대와 인물에 어울려 공을 들인 것이 드러나기도 한다. 극의 도입부터 살벌하고 비극적인 분위기를 한 장면 한 장면 희극적으로 전개해 가지만 내용전달이나 관객의 공감대 형성 그리고 감동적인 대단원에 이르기까지 관객의 몰입도가 향상된 느낌이고, 커튼콜에서 관객의 기립박수가 쏟아진다.

   
 

장두이, 하성광, 정진각, 이영석, 유순웅, 조연호, 김정호, 이지현, 성노진, 장재호, 호 산, 강득종, 김도완, 김명기, 김도완, 전유경, 우정원 이형훈 등 출연자 전원의 독특한 성격설정과 탁월한 호연은 컴퓨터의 애니메이션 게임이나, 개그 코미디를 보는 느낌이라, 관객을 폭소와 동시에 눈물로 이끌어 가고, 커튼콜에서 기립박수를 받는다.

무대디자인 이태섭, 조명디자인 류백희, 의상디자인 이윤정, 음악감독 김태규, 분장디자인 이동민, 소품디자인 김혜지, 무술감독 한지빈, 움직임지도 고재경, 음향디자인 음창인, 조연출 서정완, 조연출보 노현동 등 기술진의 열정과 기량이 돋보여, (재) 국립극단의 김윤철 예술감독, 기군상(紀君祥) 작, 오수경 역, 고선웅 연출의 <조 씨 고아, 복수의 씨앗>을 발군의 연기력과 출중한 연출력이 조화를 이룬 명작연극으로 탄생시켰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