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뉴딜 정책'과 노인 소외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공공 와이파이, 키오스크 접근성 향상 등

Tag
#사회
pixabay

 

[문화뉴스 MHN 노푸른 기자] 어느 패스트푸드점을 가더라도 '키오스크'가 없는 곳을 찾는 것이 힘들어졌다. 젊은층은 키오스크를 통한 무인 주문 방식에 익숙하지만 고령층에게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이처럼 노인 등 특정 계층에 취약적으로 나타나는 디지털 정보 격차를 '디지털 소외 현상'이라고 한다. '디지털 소외'는 특정 계층으로 하여금 디지털의 헤택을 받지 못하게 하고, 그들의 의견을 외면한다. 

'2019 디지털 정보격차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정보취약계층' 가운데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이 일반인을 100%로 가정했을 때, 64.3%로 가장 낮다. 노인의 어려움은 다른 취약계층인 저소득층(87.8%), 장애인(75.2%), 농어민(70.6%)과 비교해도 가장 낮다.

고령층이 가장 취약한 이유는 무엇일까. 고령층이 디지털 기기를 이용하다가 문제가 발생했을 때 도움을 위해 찾는 1순위가 가족이다. 그러나 모든 고령층이 가족과 함께 사는 것은 아니며 가족들로부터 쉽게 도움을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다. 게다가 가족해체와 1인가구 증가에 따라, 독거노인은 급증하는 추세다. 

그렇다면 고령층의 디지털 소외 현상은 막을 수 없는 것일까?

정부는 코로나19로 인한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뉴딜' 정책을 내놓았다. 데이터, 네트워크, 인공지능 등 디지털 산업에 대규모로 투자해 앞으로 5년간 약 58조원을 투자해 90만개의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더욱 심해질 수 있는 고령층의 '디지털 정보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 국민을 대상으로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을 시행할 예정이다. 주민센터에서 운영하는 '디지털 교육센터'를 통해 누구나 일상생활 속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디지털 능력을 배양할 수 있다. 또 공공 와이파이를 신규 설치하고 키오스크의 접근성을 높일 예정이다.

또 AI 기반 음성-자막-수어 전환 서비스 개발, 장애인 방송 VOD 서비스와 발달 장애인 맞춤형 콘텐츠 제작 지원, 저소득층과 중증장애인 대상 맞춤형TV 보급 등 방송·콘텐츠 접근성도 보장할 방침이다.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노령 인구의 댁에 찾아가 교육과 안내를 진행하는 서포트 인력을 고용할 생각이 있다"고 했다. 과기정통부는 관련 예산도 확대하고 디지털 격차 부분 관련 안전망을 어떻게 짤 것인지 따로 밝힌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장기적인 관점에서 보았을 때, 무엇보다도 사회적 분위기의 전환이 가장 필요하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사업주의 관심 부족, 조기퇴직 관행 등으로 50세 이상 재직자의 교육참여율은 9.8%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고령층이 교육센터에 방문해 디지털 활용법을 배우는 것은 쉽지 않다. 

디지털 정보격차는 특정 계층에 대한 사회, 경제적 불평등을 고착화할 수 있다. 또 누구나 노인이 되기 때문에 디지털 포용 사회 구현을 위해 다같이 노력할 필요가 있다.

 

 

---

노인은 없는 '디지털 뉴딜' 정책, 디지털 정보 격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디지털 뉴딜 정책'과 노인 소외
디지털 역량 강화 교육, 공공 와이파이, 키오스크 접근성 향상 등 

주요기사
관련기사

 
Tag
#사회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