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똥별-유성-화구 근본적으로 같은 천문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
운석은 유성이 타다 남은 것, 과학적으로 귀중한 가치, 높은 가격 화제

출처: 픽사베이

[문화뉴스 MHN 권성준기자] 지난 23일 새벽 대한민국 각지에서 달 만한 별똥별이 발견되어 화제가 되었다. 한국 천문연구원에서 발표한 바에 따르면 이날 떨어진 물체는 '화구'로 확인되었다고 한다. 도대체 화구란 무엇일까? 그리고 별똥별, 운석, 유성 등과 같이 비슷해 보이는 용어들에 차이는 있을까? 

 

▶유성 & 별똥별

출처: NASA, 국제 우주 정거장에서 촬영한 유성

먼저 유성과 별똥별은 같은 현상을 얘기한다. 태양계에는 태양과 행성, 위성들 말고도 사이사이에 작게는 모래알 크기에서부터 크게는 바윗 덩어리 크기의 유성체들이 떠다니고 있다. 이 유성체들이 우주 공간을 떠돌다 우연히 지구와 만나게 되면 중력에 의해 지구로 끌려오게 되는데 이를 유성 또는 별똥별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유성체의 발생 원인은 원래부터 떠돌아다니던 작은 천체들이 끌려오거나 혜성이 날아다니면서 부서진 파편들이 떨어지거나 하는 경우가 있는데 후자의 경우는 부스러기가 많이 발생한다. 이 부스러기 흔적들이 지구 공전궤도에 남아있을 경우 다수의 유성이 지구에서 관측되고 이러한 현상을 유성우라고 부른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핼리 혜성이 만드는 오리온자리 유성우가 있다. 매년 10월 20일 경에 발생하는 오리온자리 유성우는 마치 밤하늘에 비가 내리듯이 유성우가 쏟아지며 별똥비라는 이름으로 부른다.

유성이 떨어지면 밝은 빛을 내는데 이는 유성체가 떨어지면서 지구 대기와 마찰을 일으켜 뜨거워지기 때문이다. 뜨거워진 유성체는 주변 대기를 이온화시킨다. 이온화되어 서로 떨어진 대기 분자들이 다시 결합할 때 빛을 방출하는데 이 빛이 바로 관측되는 유성의 빛이다.

 

▶화구

출처: 연합뉴스, 김민기 씨 제공

지난 23일 발견된 천체는 한국 천문연구원에서 화구로 밝혀졌다고 발표했다. 화구는 유성과 똑같은 천문 현상을 일컫는 말이지만 유성 중에서도 그 밝기가 유난히 밝은 유성을 의미한다.

화구가 되기 위한 조건은 지표면에서 관찰했을 때 맨눈으로 볼 수 있는 행성, 즉 밤 하늘의 별 보다 훨씬 밝은 유성을 의미한다. 천문학적으로는 겉보기 등급이 -4등급 보다 밝은 유성으로 대충 금성 보다 밝은 정도를 의미한다.

역사 속 기록에서도 화구의 존재는 종종 등장하였는데 대한민국에선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등 여러 문헌에서 수차례 등장하였으며 해외에서는 1972년 미국에서 관측된 대낮 화구가 존재하였다. 특히 1972년 대낮 화구는 대낮에 100초 동안 금성보다 더 밝게 빛나서 대낮 화구라는 이름이 붙었다.

심지어 조선왕조실록에는 "천구가 땅에 떨어졌는데 소리가 우레 같았다."라는 구절이 있다. 종종 화구가 떨어지면 소리가 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폭발 화구 또는 불덩이 유성이라고 부른다.

 

▶운석

출처: NASA, 화성에서 발견된 운석

운석은 우주에서 날아온 유성이 떨어질 때 대기와의 마찰에 의해 온도가 올라 뜨거워진 유성체가 타다가 미처 다 타지 못하고 남은 돌덩이를 의미한다. 형성 과정이 지구에서 형성되는 돌들과 다르기 때문에 성분, 구조를 가진다.

운석은 군데군데 떨어져 나가 기묘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대기를 통과하면서 뜨거워진 유성체가 녹아 군데군데 떨어져 나가기 때문이다. 또한 특이한데 우주에 있는 유성체들은 지구의 돌들과 달리 대기와 상호작용 같은 과정을 거치지 않아 지구에서 발견되는 암석에 비해 밀도가 높다.

운석의 성분도 특이한데 소행성들과 같이 대부분의 성분이 철과 니켈로 이루어져 있으며 형성 환경이 지구와 달랐기 때문에 비스만스태튼 무늬라고 하는 독특한 빗살 무늬를 가진 경우가 많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과학적으로 높은 가치를 가지고 또한 지구 없는 우주에서 온 물체라는 특이성 때문에 아주 높은 가치를 가지고 있다. 가령 2014년 러시아에서 발견된 600kg 운석은 한화로 약 1조 4400억 원의 가치를 지녔으며 같은 연도에 발견된 진주 운석은 1g당 만 원의 가치로 책정된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아쉽게도 지표에 있는 운석은 다른 돌들과 구분하기 어렵거나 금방 풍화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운석을 연구하고자 하는 과학자는 주로 사막이나 북극, 남극 등에서 발견한다. 실제로 전 세계 운석의 70% 이상이 남극에서 발견된다.

 

-----

별똥별? 화구? 복잡한 천문용어 한번에 정리한다, 별에서 온 그대의 이름

별똥별-유성-화구 근본적으로 같은 천문 현상을 나타내는 단어
운석은 유성이 타다 남은것, 과학적으로 귀중한 가치, 높은 가격 화제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