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연의 업무를 나눌 때 크게 제작과 연출 두 축으로 나눌 수 있다. 일반 대중들에게는 비슷한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지만 각각의 파트가 맡은 업무는 전혀 다르다. 특히나 공연계에서 진로를 꿈꾸는 사람이라면 각각의 차이점을 명확하게 파악하고 본인이 하고 싶은게 무엇인지 확실하게 깨닫는것이 중요하다.

먼저 '공연제작'이란 쉽게 말해 공연이 무대에 올라가기 까지의 전 과정을 준비하는 분야다. 공연기획과도 비슷한 개념으로 통한다. 어떤 공연을 관객들에게 선보일지 기획하는 프리 프로덕션 단계부터 공연의 폐막까지 전 과정을 기간별로 나눈다. 그 후 각 파트별로 해야 할 일들을 정리하고 공연의 BEP를 도출해 티켓금액과 수익, 각각의 예산안을 구상하는 등 행정가의 역할을 한다.

더불어 공연 전반의 크고작은 세세한일까지 맡아 진행하는 분야인만큼 사소하게는 예매처 관리부터 온, 오프라인 프로모션 등의 일정, 유료인원 대비 초대인원의 비율을 계산해 객석의 점유율을 체크한다. 공연장을 섭외하고 연습부터 공연 폐막 이후까지 스케줄을 구성해 공연팀 전반에게 알리고 홍보, 마케팅 등의 업무까지 맡아 공연을 일반 대중과 관객들에게 알릴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모색한다. 상대적으로 비즈니스나 홍보, 마케팅 능력과 계획적이면서도 꼼꼼하고 체계적인 성격을 요한다. 다양한 사람들과 함께 일을 해야하는 만큼 사람을 상대하는데 거부감이 없을수록 즐겁게 일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공연의 '연출'이란 정확히 어떤 일을 말하는 걸까? 앞서 제작이 공연 전반의 그림을 그리는 작업이라면 연출은 그려 놓은 그림을 세세하게 실현하는 작업이다. 쉽게 말해 무대 위에서 배우가 어떤 연기를 해야하는지, 소품은 어떻게 배치하고, 조명과 음향은 어떻게 활용해 무대를 어떻게 구성해야할지 등 실제로 객석에서 관객이 보는 공연을 무대위에 현실화시키는 일이다. 보통 공연에서 연출가는 직접 시나리오를 쓰고 연출까지 진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디션을 통해 배우를 직접 선발하고 연습 전반을 진행하고 무대위의 조명, 음향, 무대장치 등 각각의 파트에 대해 고민하고 전문 감독들과 계속해서 협의하며 추구하는 공연을 현실화하기 위해 노력한다.

공연의 장면 장면을 무대에 옮기기 위한 무대구성에 주력하며 무에서 유를 만들어내는 장본인들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연출가의 덕목은 무엇일까? 실제로 무대위의 장면들을 만들어내는 사람인 만큼 공연 자체에 대한 이해도와 경험이 많을수록 좋다. 다양한 장르의 공연들을 접하면서 본인의 취향을 파악하고 그것들을 실제로 글로 풀어내고 무대위에 연출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하다. 더불어 배우와 수많은 스탭들의 리더로서 다양한 사람들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끌어갈 수 있는 리더십도 함께 요하기도 한다.

흔히들 공연제작이 숲이라면 공연연출은 나무라고 한다. 제작자가 어떤 공연을 만들겠다 라는 아이디어에서 어떤 식으로 이끌어가야할지 계획을 짜고 판을 만든다면 연출가는 이렇게 만들어진 판에서 공연 자체의 완성도와 예술성을 높이는데 초점을 맞춘다. 실제로 공연 분야에서 일을 하면서 이렇듯 기획, 제작, 연출의 차이점을 잘 이해하지 못한 채 업무에 뛰어든 사람들을 종종 볼 수 있었다. 공연이 만들어지는데 있어서 본인이 어떤 역할을 하고 싶고 어떤 업무들을 하고 싶은지를 신중하게 생각해본다면 제작과 기획, 연출 파트에서 어떤 업무를 해야 할지가 명확해 질 것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