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 '배달특급',
서울시의 '제로배달 유니온'
전라북도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

사진=픽사베이

[MHN 문화뉴스 최윤정 기자] 지난해 발발한 코로나 19는 대한민국 전역에 걸쳐 다양한 변화를 이끌어냈다. 그중에서도 삶의 필수적 요소인 '식'문화는 코로나 19로 인해 식당에서 자택으로 장소가 주요하게 변화하였으며 그 주역은 바로 '배달'서비스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배달서비스 증가는 국민의 삶에 편리함을 제공하기도 했지만 배달앱 수수료로 인해 고통받는 자영업자나 근로자성을 인정받지 못하는 배달앱 라이더에 관한 사회적 논의를 촉발하기도 했다. 민간배달앱의 가맹점 수수료는 약 6~13%에 달한다. 

이와 함께 많은 지자체에서는 수수료 부담을 줄이고 상생하기 위한 공공배달앱을 출시하여 현재 일부 지역에서 운영중이다. 그러나 공공배달앱 간 경쟁, 민간 시장 침범, 지자체 예산 의존 등의 우려도 존재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표적인 공공배달앱의 운영 실태들을 알아보자.

사진=배달특급 제공

경기도의 '배달특급'

작년 12월 1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경기도의 공공배달 플랫폼 '배달특급'은, 경기도주식회사가 소상공인 권익 보호와 도민 생활 편의 증진을 위해 운영하고 있다. 경기도 주식회사는 경기도의 공유 시장경제 핵심사업 중 하나로, 경기도와 지역경제단체들의 공동출자로 설립된 회사이다. '배달특급'은 화성·오산·파주시에서 시범운영 중이며, 올해 하반기에는 28개 시군, 내년에는 도내 전역에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배달특급'은 소상공인에게는 중개수수료 1%와 제로 광고비, 소비자에게는 지역화폐 사용 시 최대 15% 할인 혜택을 제공하고 있다. 이와 함께 1월에는 소상공인 디지털 인프라를 지원하는 'POS 단말기 보급사업'이나 우수 농식품을 구매할 수 있는 '배달특급X마켓경기 100원딜' 등의 이벤트를 진행하였다.

사진=제로배달 유니온 제공

서울시의 '제로배달 유니온'

작년 8월 1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한 '제로배달 유니온'은 다른 공공배달앱과 다르게, 적은 수수료를 부과하는 다수의 민간 배달대행앱(28일 기준 16개)과 협력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소비자는 7~10% 할인 받은 서울사랑상품권을 배달앱에서 결제할 수 있으며, 가맹점은 0~2%의 저렴한 중개수수료로 수수료를 절감할 수 있다.

서비스 시작 이후 '영수증 응모 이벤트', '상품권 결제 시 10% 할인 이벤트' 등을 진행한 '제로배달 유니온'은, 1월 27일부터 2월 2일까지 '선(善)결제 서울사랑상품권을 이용 시 50% 할인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사진=배달의 명수 제공

전라북도 군산시의 '배달의 명수'

작년 3월 13일부터 서비스된 '배달의 명수'는 전국적인 공공배달앱 열풍을 불러일으킨 장본인이다. 수수료 0원, 광고료 0원 정책, 그리고 모바일 지역상품권 할인 정책을 통해 인기를 끌었다. 그러나 순이용자 수의 지속적 감소(출처 : 헤럴드 경제), 약 60%의 소비자 만족도('매우만족'과 '만족' 합 62.4%, 2020년 12월 설문 결과) 등으로 난항을 겪고 있다는 분석도 존재한다.

'배달의 명수'도 소비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이벤트를 개최하고 있다. 다음달 20일까지 소상공인에게 응원을 남기면 추첨을 통해 5천원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댓글 이벤트', 3번 이상 주문한 소비자 1천명에게 1만원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2021년에도 나는 배명만 쓴다', 선착순 2500명에게 2천원 할인쿠폰을 제공하는 '모두드림 할인쿠폰'이벤트 등을 진행한다.

사진=픽사베이

대표적인 시·도 단위 공공배달 서비스 '배달특급'과 '제로배달 유니온', 그리고 '배달특급'의 롤모델인 '배달의 명수' 외에도, 인천 서구와 연수구, 제천시, 세종시, 충청북도, 춘천시, 강원도 등 많은 지자체에서 공공배달앱을 출시하였거나 출시 예정이다. 지자체에 따라 서비스 형태나 전략은 다양하지만, 공통적인 것은 공공 예산을 사용하여 발행한 '지역화폐'로 소비자혜택의 대부분을 구성한다는 점이다. 할인쿠폰 등을 제공하는 이벤트는 주로 일시적으로 운영되며, 많은 공공배달앱의 가맹점 메뉴 가격이 적은 수수료에도 불구하고 민간배달앱과 비슷한 수준이라는 점도 지적된다.

대형 민간배달앱에 비해 기술적 부분이 부족하여 주문을 수기로 작성해야 하거나, 정부 이벤트인 외식쿠폰 1만원 제공 대상이 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민간 배달앱과의 연계 형태를 취하는 경우, 소비자들이 다양한 어플을 설치하는 불편함이 문제점으로 제시되기도 했다. 

가맹점주들의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해 도입된 공공배달앱은 소기의 목적은 달성했으나, 소비자를 유인할 정책과 기술력 부족으로 인해 지속적인 운영이 가능할지는 미지수이다. 특히 지자체의 지역화폐 구매 예산이 축소되거나 구매 매력도가 떨어지면 필연적으로 소비자 혜택을 제공할 수 없는 구조를 띠고 있다.

이에 더하여, 각 지자체별 공공배달앱이 무분별하게 확장될 경우, 공공배달앱 간 경쟁이 심화되는 등 예상치 못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도 존재한다. 경기도주식회사가 추진하는 ‘전국 공공배달앱 범 협의체’는 거제도와 춘천시, 부산시와 업무협약을 체결했지만, 해당 형태가 빠르게 팽창하는 공공배달앱을 모두 포괄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지역 소상공인과 소비자, 그리고 배달앱 자체의 지속가능성을 모두 고려한, 진정한 '상생'을 위한 전략이 고민되어야 할 시기이다.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