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뉴스] 문화재청 문화재보존과학센터(센터장 김용한)는 전라북도유형문화재 제192호 '심곡사칠층석탑(전북 익산)'에서 수습된 금동 불감과 불상 등 총 10점에 대한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익산시는 2012년 6월 미륵산 기슭에 있는 사찰인 심곡사의 칠층석탑에 대해 수리를 시행하였다. 수리를 위한 탑의 해체 과정에서 기단 중대석 내 사리공(舍利孔, 탑 안에 사리를 모시기 위한 공간)에서 불상 2점, 하부 지대석 내 사리공에서 불감 1점, 불감 내에서 금동불좌상 7점이 발견되었다. 이 탑은 백제, 고려, 조선의 탑 양식을 모두 간직한 조선 시대 초기의 석탑으로 불감 역시 같은 시기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기단 중대석에서 출토된 불상 2점은 통일신라 시대의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불감(佛龕)은 불상을 모셔 두는 전각으로, 사리공에서 발견된 불감 내에는 삼존불을 비롯하여 총 7점의 불상이 모셔져 있었다. 이 불감은 높이 18.8㎝로 유물수습 시 집의 형태는 유지하고 있었으나, 고정되지 못하여 불안한 상태였다. 또 전면의 양쪽 문은 파손되어 탈락하였고, 파편은 사리공 바닥에 쌓인 흙에 흩어져 있었다. 불감 내의 불상은 대부분 양호한 상태이나, 작은 불상 4점은 좌대가 대부분 파손되었고, 표면이 흙과 부식물로 덮여 있었다.
 
문화재보존과학센터는 불감이 발견되자마자 현장 수습을 하였으며, 보존처리를 위하여 센터로 이송하였다. 이송 후 먼저 CT(Computerized Tomography, 컴퓨터단층촬영법)와 X-ray(뢴트겐선) 투과 조사 등 과학적인 조사를 시행하였다. 조사 결과 감실과 불상은 금동제로 확인되었으며, 삼존불 내부에서는 후령통(候鈴筒), 사리호, 한지 등이 확인되었다. 특히, 본존불 두상 내에서 2점의 종이뭉치가 발견되었는데, 한지의 훼손이 심해 판독은 어려운 상태이며 현재 보존처리를 하고 있다.
 
 ※ 후령통: 불상이나 불화 등을 조성할 때 함께 넣는 금․은․칠보 등의 보물과 오곡(五穀)․오향(五香)․오약(五藥)을 복장(服藏)이라 하며, 후령통은 이 복장을 넣는 통을 이르는 말
 
이번 보존처리를 통해 금도금층과 섬세한 문양이 드러났으며, 전체적인 윤곽과 형태를 유추할 수 있게 되었다. 심곡사칠층석탑 조성 당시 함께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지대석 사리공의 불감은 조선 시대 초기 불감과 불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주목하고 있다. 또 기단 중대석에서 출토된 불상은 통일신라 불상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뉴스 신일섭 기자 invuni1u@mhns.co.kr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