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가지 주제로 색다른 네오클래식 발레로 구성
유병헌 감독, 인간의 감정의 치유에 주목

[문화뉴스 김창일 기자] 유니버설발레단(단장 문훈숙, 예술감독 유병헌)은 오는 18일(금)부터 20일(일)까지 예술의전당 CJ토월극장에서 <트리플 빌 Triple Bill>을 올린다. 제11회 대한민국발레축제 초청작인 <트리플 빌>은 유니버설발레단이 오랜만에 선보이는 신작이다.

유니버설발레단의 <트리플 빌>은 인간의 보편적인 감정 중에서도 분노(愤), 사랑(愛), 정(情)을 주제로 색다른 매력의 네오클래식 발레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파가니니 랩소디’는 미로와 같은 삶 속에서 자유를 추구하고 자아를 찾고자 하는 인간의 번뇌와 희망을, ‘버터플라이 러버즈’는 중국 고전설화를 바탕으로 이뤄지지 못한 연인의 슬픈 사랑 이야기를, 마지막으로 ‘코리아 이모션’은 한국인의 대표적인 정서인 정을 아름다운 몸의 언어로 드라마틱하게 표현하였다. 

유니버설발레단의 <트리플 빌>을 통해 안무가 유병헌은 예술을 매개로 현대인의 억눌린 감정을 직관적으로 표출함으로써 공감과 위로 그리고 희망을 전하고자 한다. 

 

파가니니 랩소디 (사진=유니버설발레단 제공)
파가니니 랩소디 (사진=유니버설발레단 제공)

 

첫 번째 작품, <파가니니 랩소디>는 2003년에 발표된 작품이다. 주제곡 《파가니니 주제에 의한 변주곡》은 인간의 모든 감정을 작품 속에 투영해 쓴 라흐마니노프의 협주적 작품으로, 안무가 역시 작곡가의 철학적 사색을 깊이 있게 담아냈다. 

이번 작품은 ‘분노’라는 감정에 집중한다. 암울한 현실을 살아가는 인간이 행복했던 과거에 대한 집착과 미래에 대한 불안과 희망을 놓지 못하는 애틋한 몸부림을 라흐마니노프 특유의 생동감 있는 음악적 기교와 변주에 맞춰서 때론 서정적으로, 때론 역동적으로 그렸다. 음악은 기존과 같이 라흐마니노프의 곡을 그대로 사용했다.

그러나 표현력을 보완시켰고, 전체 구성을 더 풍부하게 변화시키는 등 안무와 연출에 변화를 주었다. 명랑하고 서정적인 느낌에서는 즐거운 과거에 대한 회상을, 절망과 분노와 희망까지 24번의 변주곡처럼 다이내믹하고 역동적인 고난도 무브먼트가 쉼없이 이어진다. 

 

버터플라이 러버즈 (사진=유니버설발레단 제공)
버터플라이 러버즈 (사진=유니버설발레단 제공)

 

영국에 ‘로미오와 줄리엣’, 한국에 ‘춘향전’이 있다면, 중국에는 ‘양산백과 축영대’의 사랑 이야기가 있다. 다음으로 이어지는 작품 <버터플라이 러버즈(일명 나비 연인)>는 서로 사랑하는 연인이 비극적 죽음을 맞은 후에 나비로 환생하여 사랑을 이어간다는 중국 4대 민간설화 ’양산백과 축영대’ 이야기를 그린 작품이다.

중국판 로미오와 줄리엣으로 불리는 이 이야기는 우리나라의 ‘춘향전’처럼 경극(京劇]), 월극(越劇), 천극(川劇) 등 중국의 전통극이나 드라마, 영화, 발레,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로 각색되었을 정도로 매우 유명하다. 조선시대 때 『양산백전』이라는 제목으로 출간된 기록도 남아있다.

총 7개 부분으로 나뉘는 ‘바이올린 협주곡-나비 연인’은 고전설화의 스토리를 그대로 담아 음악으로 형상화했다. 

 

코리아 이모션 (사진=유니버설발레단 제공)
코리아 이모션 (사진=유니버설발레단 제공)

 

마지막 작품 ‘코리아 이모션’은 한국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는 고유의 정서인 ‘정’을 발레로 담은 작품이다. 정은 인간의 가장 복잡한 감정 중 하나로써, 미움이나 증오와 정반대인 듯하면서도 분리하기 어려운 양면성을 갖고 있는 감정이다. 

유병헌 예술감독은 마지막 작품 '코리아 이모션'에 한국인 특유의 감정인 '정'을 투영해 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한국인은 감수성이 뛰어나고 감정적으로 섬세하다. 그가 20년 넘게 한국에 살면서 가장 느낀 점이 ‘한국인은 미운 정, 고운 정과 같은 다양한 정을 가지고 있고, 그것이 인간관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었다. 그는 한국인의 저력도 ‘정’에서 나온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마지막 대비를 한국인의 정을 모티브로 삼았고, 음악 역시 국악 크로스오버로 선택했다.

유니버설발레단의 <트리플 빌>을 통해서 안무가 유병헌이 전달하고 싶은 메시지는 위로와 희망이다. 실제로 전세계를 덮친 코로나 팬데믹은 지금도 많은 이들에게 고통을 주고 피폐하게 만들고 있다. 그래서 인간의 감정과 치유에 주목했다. “자신의 감정을 피하지 않고 직관으로 마주함으로써 그 감정을 수용할 수 있을 때, 스스로 치유하고 앞으로 나아갈 수 있다고 믿습니다. 불가항력의 재난 속에서도 인류는 희망을 찾아 나아가기 마련이니까요. 이것이 이번 작품의 안무 의도이기도 합니다.”

문훈숙 단장은 "올해가 한러수교 30주년, 내년은 한중수교 30주년입니다. 여러 정치외교 현안들로 국가 간 대립과 화해를 반복하고 있지만, 그럴수록 문화예술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엇보다 대한민국 대표 예술단체로써 새로운 레퍼토리 개발과 장르 간의 융합과 하모니로 진일보 된 예술을 담아내고 싶었습니다.”라고 남다른 의미를 부여했다. 말미에 문훈숙 단장은 보고 듣기만 해도 가슴 깊숙한 곳에서 울리는 벅찬 감동을 느낄 수 있는 이번 공연에 많은 관심을 기대했다.

한편 올해로 11회를 맞는 대한민국발레축제는 ‘혼합된 경험과 감정’을 주제로 초청과 기획 및 공모를 통해 선정된 11개 작품과 협력공연 1개 작품 등 총 12개 발레작품을 선보인다. 대한민국발레축제는 오는 15일부터 30일까지 예술의전당에서 화려하게 개최될 예정이다.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