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에서의 문화 향유를 위한 지원사업 실시
차별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활문화 추구
문화도시 지정과 지역문화진흥 전담기구인 지역문화진흥원

[문화뉴스 김창일 기자] 연극, 뮤지컬, 무용, 영화, 체험 등 문화를 즐기는 방법은 다양하다. 문화를 통해 지친 하루를 위로받을 수 있고, 방황하던 삶의 이정표를 찾기도 한다. 

지역문화진흥원(이하 진흥원)은 문화향유에 있어 지역적인 편차를 줄이고, 일상에서 문화를 누릴 수 있게 문화가있는날, 청춘마이크, 문화도시 지정 등의 사업을 펼치고 있다. 차재근 원장을 만나 일상의 문화향유 및 진흥원의 사업에 대해 이야기를 나눴다.


 

차재근 지역문화진흥원장
차재근 지역문화진흥원장

 

진흥원은 생활문화와 문화가있는날 등 일상에서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진흥원의 전반적인 소개 부탁드립니다.

진흥원은 지역의 문화가치 창출과 지속적이고 자발적인 문화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지역문화 및 생활문화 진흥을 위한 사업과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국민 모두가 문화적 삶을 누리게 함을 설립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진흥원의 역할과 기능이 점차 확대되고 있습니다. 보편적인 국민의 문화권 보장과 (소비적관점이 아닌 체화시키는, 문화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향유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원의 역할이라고 생각합니다. 예술지원 영역을 제외한 보편적 국민을 위한 문화정책 집행기능이 확대될 것으로 보입니다. 

 

일상에서의 문화 향유를 위한 지원사업

'문화가 있는 날'

 

각 지역에서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생활문화센터 (사진=지역문화진흥원 제공)
각 지역에서 문화향유의 기회를 제공하는 생활문화센터 (사진=지역문화진흥원 제공)

 

각 지역마다 생활문화센터가 있어 멀리 이동하지 않고 생활문화를 즐길 수 있습니다. 지역문화전문인력이 중요한 이유기도 합니다. 지역문화전문인력 양성을 통해 지역문화인력으로 활동하는 분들은 얼마나 있나요? 인력의 분야도 말씀해주세요.

2015년부터 2010년까지 지역문화전문인력이 총 1,104명 배출됐습니다. 이 중 70% 정도 인력이 사업이 끝난 후에도 문화영역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10개 양성기관에서 383명이 교육을 받고, 70개소에 79명이 배치돼 있습니다. 

지역문화전문인력의 모니터링 결과를 볼 때, 이제 사회서비스가 문화서비스로 이동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복지시스템은 새로운 계층을 발굴하고 지원하는 것이면 되는 줄 알았습니다. 코로나19를 겪으면서 이게 전부가 아니라는 걸 고백하고 있습니다. 

소통, 단결, 외로움, 고독 등은 사회복지의 대상이 아닌, 다른 차원의 문제입니다. 그 답은 생존권 보장을 넘어선 문화적 방식입니다. 국가정책 중 문화서비스 정책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사회복지 안전망에서 문화안전망으로 이동될 것입니다. 문화정책은 이제 행정시스템 안에서도 적극적으로 검토되어야 합니다. 장기적으로는 지역문화전문인력이 행정시스템 안으로 들어가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갖춰져야 합니다. 

 

문화가있는날 '직장 문화배달'  (사진=지역문화진흥원 제공)
문화가있는날 '직장 문화배달' (사진=지역문화진흥원 제공)

 

진흥원의 문화가있는날 사업을 빼놓을 수 없습니다. 올해 문화가있는날은 어떻게 진행되고 있나요?

문화가있는날은 2014년부터 국민이 일상생활 속에 문화를 쉽게 즐기고 누릴 수 있도록 매달 마지막 주 수요일과 그 주의 주간에 ‘문화가 있는 날’을 실시하고 있습니다. 문화가 있는 날 혜택은 영화관, 공연장, 박물관, 미술관, 문화재 등 전국의 문화시설과 스포츠시설 할인 또는 무료로 즐길 수 있으며 직장인도 퇴근 후 이용이 가능하도록 문화시설 야간개방도 진행하고 있습니다. 

문화가있는날 사업 중, 청춘마이크를 빼놓 수 없습니다. 내년에는 실버마이크도 생길 예정입니다. 소비적향유의 기회, 지역의 종사자들에게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포함한다면, 문화가있는날은 의미 있는 성과를 거두고 있습니다.

 

차별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생활문화

 

생활문화동호회 (사진=목포문화재단 제공)
생활문화동호회 (사진=목포문화재단 제공)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활동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사업은 시행하지만, 한계점도 있을 듯합니다. 생활문화센터 이용이 어렵습니다. 각 지역의 생활문화동아리 유지도 어려울 것 같습니다. 

코로나19로 인한 오프라인 활동이 곤란해졌지만, 문화동아리에게는 하나의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봅니다. 이전에는 본인이 활동하는 동아리만 했습니다. 지금은 직접 만날 수 없으니 온라인으로 대화할 수 있고, 오프라인이 가능할 수 있을 때의 대비한 거버넌스 준비 등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지역생태계를 설계할 수 있는 시간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정보시스템에서는 국경이 없습니다. 시민은 이미 익숙해졌습니다. 코로나19로 온라인으로 소통하는 방식이 좀 더 일찍 폭팔적으로 빨라진 것 뿐입니다.

 

2020 전국생활문화축제 개막식  (사진=지역문화진흥원 제공)
2020 전국생활문화축제 개막식 (사진=지역문화진흥원 제공)

 

올해 전국생활문화축제는 어떻게 될까요? 

올해 전국생활문화축제는 10월 4일부터 10일까지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가능한 오프라인 방식을 더해 하이브리드 방식의 온라인 방송국 형태로 진행합니다. '생활문화 백신(100 Scene)으로 만나는 새로운 일상'을 슬로건으로 포항과 전국을 비대면으로 연결합니다. 

포항의 해양과 철강 문화를 주제로 다양한 공연, 전시, 체험이 기획되어 있어 전국 어디서나 포항의 일상 문화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문화도시 지정과

지역문화진흥 전담기구로서의 진흥원

 

진흥원의 ‘문화도시 지정’이 무엇인가요? 

문화도시는 「지역문화진흥법」 제15조에 따라 문화예술 · 문화산업 · 관광 · 전통 · 역사 · 영상 등 지역별 특색있는 문화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문화 창조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지정된 도시를 말합니다. 

2019년 제1차 문화도시에 경기 부천시, 강원 원주시, 충북 청주시, 충남 천안시, 경북 포항시, 제주 서귀포시, 부산 영도구, 2021년 제2차 문화도시로 인천 부평구, 강원 강릉시, 강원 춘천시, 전북 완주군, 경남 김해시가 지정됐습니다. 현재는 서울 영등포구, 인천 서구, 대구 달성군 등 16개 도시가 문화도시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문화도시는 지정 받기 전, 사전에 최소 2년 이상을 준비해야 합니다. 또한, 5년 동안의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문화도시로 지정받은 도시는 100회 이상 담론화 과정을 거쳐 문화도시로 탄생했습니다. 1단계 문화특화지역사업, 2단계 문화적 도시재생, 3단계 법정문화도시로 이행되며 시민력도 함께 상승하게 됩니다. 또한 문화도시는 문화민주주의, 지역문화분권, 문화다양성의 원칙을 견지하며 장소성, 지역성, 일상성, 시민력을 주목하는 동시에 분권과 자치 역량을 증대시킵니다.

 

진흥원의 위상 재정립을 주장한 차재근 지역문화진흥원장
진흥원의 위상 재정립을 주장한 차재근 지역문화진흥원장

 

올해 진흥원이 지역문화진흥 전담 기구로 지정되었는데요. 앞으로 지역문화 전반, 현장 등 정책에서 진흥원의 역할 그리고 앞으로 비젼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다섯 가지로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첫 번째는 예술지원 영역 이외에 보편적인 국민을 위한 문화지원을 하는 기관으로 미션이 설정돼야 합니다. 지역문화를 합하면 국가의 문화가 됩니다. 장기적으로는 지역을 바탕하되 지역을 넘어선 국가문화위원회가 돼야 합니다.

두 번째는 「지역문화진흥법」, 「문화기본법」 등의 실효성이 떨어집니다.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한 정책과 사업의 틀을 만들어야 합니다. ‘지역문화협력위원회’가 지역마다 설치될 수 있지만, 강제할 순 없습니다. 분권예산 권한이 지자체에 있지만, 제대로 사용되는지는 알 수 없습니다. 진흥원은 물론, 공공기관, 중앙정부가 이를 촉진할 수 있는 형태로 정책사업을 재구조화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세 번째는 문화안전망입니다. 사회복지안전망에서 문화안전망으로 문화서비스가 국가 주요정책으로 방향이 잡히려면, 지금부터 준비해야 합니다. 문화도시 사업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문화도시에서의 경험은 문화서비스로의 정책 전환에 매우 유효하게 사용될 것으로 봅니다.

네 번째는 다음 단계의 문화도시를 위한 ‘문화도시 2.0’입니다. 다음 정부에서도 법정문화도시를 국정과제로 삼도록 하는 것입니다. 

다섯 번째는 전담기관으로 됐지만, 앞으로 진흥원이 법정기관과 기타 공공기관까지 갈 수 있어야 합니다. 최종으로는 문화위원회까지 이어져야 합니다. 이와 더불어 진흥원의 위상강화와 직원들의 근로복지 지원도 병행돼야 합니다. 

 

<차채근 원장 주요 이력>

현) 지역문화진흥원 원장
현) 전국지역문화네트워크 공동대표
전) 2기, 3기 문화체육관광부 지역문화협력위원회 공동위원장(황희/ 차재근)
전) 제1기 법정문화도시 지정 실무검토단장
전) (재)포항문화재단 대표이사
전) 서울시청년허브센터장
전) 생활문화협치위원회 위원장
전) 경기문화재단 문화예술본부장
전) 부산문화재단 문예진흥실장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