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핵심기술인 라이다(LiDAR) 센서 기반 데이터스케이프 장착 후 미술관 활보
공간과 환경의 청각화와 이식된 장치를 통한 감각의 확장 경험
12월 5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공개

데이터스케이프를 장착하고 주행하는 모습 (사진=양승욱,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데이터스케이프를 장착하고 주행하는 모습 (사진=양승욱,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문화뉴스 김창일 기자] 국립현대미술관(MMCA, 관장 윤범모)은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1: 멀티버스》의 여섯 번째 프로젝트이자 마지막 순서로 후니다 킴의 <디코딩 되는 랜드스케이프>를 12월 5일(일)까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에서 공개하고 있다.

후니다 킴은 첨단기술과 그 기술로 인해 촉발되는 생태계의 변화에 주목해 왔다. 작가는 인간 본연의 감각을 보다 예민하게 만드는 ‘환경인지장치’를 직접 제작함으로써 새로운 지각 경험을 시도하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이번 전시에서는 청각 기반 환경인지장치를 활용한 신작 <디코딩 되는 랜드스케이프>를 선보인다. 

이번 작품의 환경인지장치는 관람객이 직접 장착하여 소리를 통해 공간을 인식하는 ‘데이터스케이프(Datascapes)’이다. 이 장치에는 자율주행차량의 핵심기술인 라이다(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센서가 활용됐다. 데이터스케이프는 이렇게 반사된 신호 데이터를 소리로 변환하여 송출함으로써 작품을 장착한 사용자가 시각이 아닌 청각을 통해 주변 공간을 인식하게끔 한다. 

관람객은 데이터스케이프를 장착하고 미술관 복도를 주행한다. 이 과정에서 중요한 점은 데이터스케이프가 신체의 일부와 같은 보철로서 일시적으로 이식(implant)된다는 점이다. 작가는 이식된 장치가 미술관을 다르게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감각의 일부로 기능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디코딩 되는 랜드스케이프>의 환경인지장치 체험은 국립현대미술관 서울 지하1층 프로젝트 갤러리에서 선착순으로 예약할 수 있다. 체험시간은 약 15분이며 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운영된다. 

윤범모 국립현대미술관장은 “《국립현대미술관 다원예술 2021: 멀티버스》는 올 한 해 동안 시기마다 최첨단 과학기술을 활용한 작품들을 선보여 왔다”라며, “이번 전시의 마지막을 장식하는 후니다 킴의 <디코딩 되는 랜드스케이프>를 통해 자율주행의 눈이라고 할 수 있는 라이다 센서를 활용한 예술작품을 체험해보고 미술관 공간을 흥미롭게 경험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