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대책 핵심 '육아휴직', 여전히 눈치…출산·육아에 대한 배려의 태도 부족해

[문화뉴스] 우리나라 국민 10명 가운데 9명은 저출산 현상을 심각하게 보고 있었다. 하지만 저출산 대책의 핵심인 '육아휴직'을 사용하는데 있어 아직까지 상사, 동료 등의 눈치를 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아울러 국민 10명 중 1명은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육아에 대한 배려의 태도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육아에 대한 배려의 태도가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윤종필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의원(자유한국당)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2017년 저출산·고령화에 대한 국민인식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성인 조사 대상 2000명 가운데 87.4%가 우리나라 저출산 현상에 대해 ‘심각하다’고 응답했다.

‘매우 심각하다’고 답한 이들은 24.8%, ‘어느 정도 심각하다’고 답한 이들은 62.6%였다. '저출산이 우리 사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응답(매우 영향 26.3%, 어느 정도 영향 68.2%)도 94.5%에 달했다.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결혼 후 발생하는 비용의 부담’(31.2%)이 가장 많이 꼽혔다. 

다음으로는 ▲‘취업난 또는 고용 불안정성’(19.5%) ▲‘일·가정 양립이 어려운 사회문화’(18.1%) ▲‘부족한 소득’(13.1%) ▲‘여성 위주의 육아 및 가사 부담’(10.3%) 순이었다.

‘결혼 후 자녀가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10명 중 1명 정도(10.2%)였다. 자녀가 필요 없다고 생각하는 주요원인은 대부분 비용‧육아 어려움 문제였다.

‘육아가 힘들고 어려워서’가 28.4%, ‘교육비용 부담이 커서’가 28.0%, ‘잘 키울 자신이 없어서’(22.3%) 등 순이었다. 

저출산의 주요 원인으로는 ‘결혼 후 발생하는 비용의 부담’(31.2%)이 가장 많이 꼽혔다. 

결혼 전 동거에 대해서는 62.1%가 ‘가능하다’고 답했다. 또 동거에 대해 ‘결혼을 전제하면 가능하다’(35.7%)라는 의견이 ‘결혼과 관계없이 살 수 있다’(26.4%)보다 많았으며 ‘결혼하지 않아도 아이를 낳을 수 있다'에 동의하는 이들의 비율은 25.6% 정도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남성 육아휴직제도에 대한 조사 내용도 담았다.

'남성 육아휴직제도의 내용을 잘 알고 있다'는 사람은 22.7%로 적은 편이었고, '들어는 봤지만, 내용은 모른다'(64.4%)는 응답은 절반을 넘어섰다.

초등학교 미만의 자녀를 둔 부모의 경우 평일 육아시간은 평균 남편 45.5분, 아내 229.2분이었다. 휴일 육아시간은 남편 145.7분, 아내 297.6분으로 나타났다. 

자녀 육아에 할애하는 시간은 아내가 남편보다 평일 5배, 휴일 2배 이상 많았다.

직장인들 가운데 '출산으로 휴가를 낼 때 직장 상사와 동료들에게 눈치가 보인다'는 응답이 76.6%에 달했다. 육아휴직을 낼 때 눈치가 보인다'는 응답 역시 72.2%로 많았다. 

직장인들에서는 '출산으로 휴가를 낼 때 직장 상사와 동료들에게 눈치가 보인다'는 응답이 76.6%에 달했다. 육아휴직을 낼 때 눈치가 보인다'는 응답 역시 72.2%로 많았다.

또 '자녀로 인해 휴가를 낼 때 눈치가 보인다'고 답한 이들은 67.2%, '자녀로 인해 휴가를 내는 직장 동료를 부정적으로 생각한다'는 답변은 62.4%로 나타남에 따라 사회 전반적으로 출산·육아를 배려하는 태도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앞서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실시됐다.

윤종필 의원은 “정부가 2006년부터 지난 13년간 153조원의 예산을 투입했지만 한해 출생아 수는 44만명에서 35만명으로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국민 대부분이 저출산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출산, 육아를 배려하는 사회적 인식·분위기는 전혀 바뀌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고 전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