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전년동월비 6.3% 상승
근원물가 전년동월비 4.5% 상승
생활물가지수 전년동월비 7.9% 상승
신선식품지수 전년동월비 13.0% 상승

[문화뉴스 성연수 기자] 기획재정부에서 지난 2일 7월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도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 7월 소비자물가는 농축수산물의 큰 폭 오름세 확대와 함께 가공식품 등 공업제품, 외식 등 개인서비스 상승세가 지속되며 전년동월비 6.3% 상승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ㅇ (농축수산물) 폭염·장마철 등 생육조건 악화에 따라 채소·과실 중심으로 농산물 가격 오름세 확대(전년동월비, (22.6월) 4.8→ (7월)7.1%)

*전년동월비(%, 6→7월): (농산물)1.6→8.5 (축산물)10.3→6.5 (수산물)2.9→3.5

ㅇ(석유류) 글로벌 경기둔화 가능성이 확대되며 원유 수요 감소로 국제 원유 가격이 하락하면서 석유류 가격 오름세 둔화(39.6→35.1%)

ㅇ(전기·가스·수도) 7월 전기·가스요금 인상이 반영되면서 가격 오름세 확대(9.6→15.7%)

ㅇ(개인서비스) 원재료비 상승 영향 등으로 외식 오름세 지속 확대, 외식外도 수요 회복 영향 등으로 대면업종 중심 상승세 소폭 확대(5.8→6.0%)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농산물·석유류 제외)는 상승폭 소폭 확대(4.4→4.5%)

*계절적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의해 영향을 크게 받는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물가 상승률로 전체 458개 품목 중 농산물과 석유류 관련 품목을 제외한 401개 품목으로 구성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 생활물가지수*는 주로 식품(채소 등 농산물, 가공식품 가격 인상 등) 가격 상승폭 확대 영향으로 오름폭 확대(7.4→7.9%)
 

*전체 458개 품목 중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6→7월) : (식품)7.7→8.8 (식품이외)7.2→7.3

ㅇ신선식품지수*는 폭염·장마철 등 기후 악화로 인한 신선채소·과실 가격 상승으로 상승폭 큰 폭 확대(5.4→13.0%)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일 등 계절 및 기상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
 

*전년동월비(%, 6→7월) : (신선어개)2.7→3.3 (신선채소)6.0→26.0 (신선과실)6.5→7.5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 7월 물가는 농축수산물의 큰 폭 오름세 확대와 함께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상승세가 지속되며 6월 대비 상승폭 확대

➊ 농축수산물, 석유류 등 공급측 요인의 물가기여도가 전월보다 소폭 상승

▪ (농축수산물) 기후 영향, 생산비용 증가 및 수입품 가격 상승 영향 등으로 6월 대비 물가기여도 상승 (6월 0.42%p→7월 0.62%p)

▪ (석유류) 글로벌 경기둔화 가능성 확대되며 원유 수요 감소로 국제 원유 가격이 하락하면서 물가 기여도 하락(1.74%p → 1.59%p)

➋ 개인서비스 공업제품(석유류제외) 등 근원품목의 물가상승압력도 지속

▪ (개인서비스) 원재료비와 운영경비 상승 영향 등이 반영되며 외식과 외식 제외 모두 6월 대비 물가기여도 소폭 확대(1.78%p→1.85%p)

*물가기여도(%p, 전년동원비, 6월→7월) : (외식) 1.01→1.07 (외식제외) 0.76→0.78

▪ (공업제품(석유류제외)) 원재료비·물류비 오름세 지속 등으로 가공식품·화장품 중심으로 물가기여도 소폭 확대(1.50%p→1.52%p)

*물가기여도(%p, 전년동월비, 6월→7월) : (가공식품) 0.68→0.70 (화장품) 0.12→0.12

➌ 7월 전월비는 농축수산물, 공업제품, 개인서비스 상승에 따라 0.5% 상승

*전월비 물가기여도(%p): (농축수산물)0.2 (공업제품(석유류제외))0.1 (개인서비스)0.21

□ 금년 들어 어려운 물가여건이 지속되고 있으나, 최근 긍정적 신호들도 일부 관찰

➊ 그간 물가상승을 주도해온 국제유가가 다소 하락했고, 유류세 인하 등이 더해지면서 국내 주유소의 휘발유 평균 판매가격이 7월 31일 1800원대 진입하는 등 석유류 물가상승압력이 둔화되는 모습

➋ 최근 국제 원자재·곡물 가격도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보이고 있는 상황

□ 정부는 그간 총 8차례에 걸쳐 발표한 민생·물가안정대책의 차질없는 시행과 점검 보완을 통해 효과가 신속히 체감될 수 있도록 지속 노력하고, 농축수산물 등 생활물가 안정화와 민생여건 개선을 위해 8월 추석 민생안정대책 등 추가 방안을 마련할 계획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