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 전 한동안 김정숙 여사의 활동이 꽤나 두드러진 적이 있었다.​ 더욱이 지난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 당시, 부군(夫君)인 문재인 후보의 홍보를 위해 대중 앞에서 우리 가곡 <희망의 나라로>를 노래하는 김 여사의 모습은 '유쾌한 정숙씨'라는 별칭보다는 '호탕한 정숙씨'가 걸맞을 정도로 거침이 없었다.

그러다 영부인이 된 후, 언제부터인가 그 이름 앞에 성악가라는 호칭이 붙여졌다. 예컨대 인터넷 위키백과 ‘나무위키’는 김정숙 여사를 ‘한국의 성악가’ 반열(班列)에 올려놓고 있다. 특히 가나다 순서에 의해 ‘김자경’, ‘김천애’ 사이에 ’김정숙’이 위치하고 있다. 그 후 발 빠른 ​일부 언론의 호들갑에 의해 이미 김 여사가 성악가임을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을 정도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나무위키에서 ‘한국의 성악가’를 클릭하면 소프라노 ‘김자경’과 ‘김천애’ 사이에 ‘김정숙’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나무위키에서 ‘한국의 성악가’를 클릭하면 소프라노 ‘김자경’과 ‘김천애’ 사이에 ‘김정숙’이라는 이름이 나온다.

대한민국 성악가의 수준

사전적 의미로 ‘성악가’란 “성악을 전문적으로 하는 음악가”를 일컫는다. 사회 통념상, 음악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했어도 졸업 후 그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자를 ‘성악가’라고 칭하지 않는다. 즉, 다른 분야도 마찬가지지만 성악가(聲樂家)의 ‘가(家)’는 성악 분야에 일가(一家)를 이룬 저명 인사에게 붙여주는 일종의 훈장과 같은 명예로운 호칭이다.

지난날 문재인 전 대통령의 부인 김정숙 여사는 과거 모 음악대학에서 성악을 전공한 음악도이다. 그는 졸업 후 1978년 세종문화회관 건립과 함께 창단된 서울시립합창단 단원으로 잠시 활동한 바 있으나 그 외에 음악인으로서의 활동은 찾아볼 수 없다. 그런데도 사회 일각에서는 김 여사를 성악가라고 지칭한다. 이는 김정숙 여사가 당시 영부인인 것은 엄연한 사실이니 인정해야겠지만 그 때문에 그녀를 성악가라 호칭하는 것은 너무 지나친 것 같다.

아무튼 성악가는 앞서 나무위키에 적시(摘示)된 김자경, 김천애 선생 같은 분에게 붙여야 할 호칭이라 여겨진다.

김자경 선생은 ‘김자경 오페라단’을 통해 한국의 오페라 중흥에 크게 기여했고, 김천애 선생은 일제 강점기 한국 최초의 가곡인 ‘봉선화’를 불러 옥고(獄苦)를 치른 한국 음악계의 역사적 큰 인물이다. 그런데 필자가 살아생전 가깝게 모셨던 이 두 분에 대해 갑자기 죄송한 생각이 드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더욱이 지난 2016년 대선 기간 중 부군(夫君)인 문재인 후보를 돕기 위해 공개적으로 부른 우리 가곡 <희망의 나라로>는 언론의 실황 보도를 통해 이미 100만 명 이상의 조회로 화제를 모은 바 있다. 이 동영상은 지금도 SNS를 통해 ‘성악가 김정숙’만 클릭하면 언제든지 쉽게 보고 들을 수 있도록 공개되어 있다.

 

그런데 유감스러운 것은 성악가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예술가곡을 이처럼 아무렇게나 불러도 되느냐? 하는 것이다. 한국이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것은 분명하지만 성악가가 예술가곡을 이처럼 박자와 음정을 무시한 채 자유롭게(?) 부를 수 있단 말인가? 대통령 부인은 가곡을 그렇게 부를 수도 있겠지만 성악가는 그렇게 부르지 않는다. 아니, 그렇게 부르면 안 된다. 아무튼 필자는 성악가가 대중 앞에서 그렇게 마구 부르는 <희망의 나라로>는 생전 처음 들어본다. 이는 (대한민국 성악가의) 음악적 수준으로 볼 때 <희망의 나라로>가 아니라 차라리 [절망의 나라로]라고 제목을 바꿔야 할 듯하다. 혹시 이 곡을 작곡하신 현제명 선생이 듣는다면 얼마나 상심하실까?

그런데도 이에 대한 일부 언론의 칭송은 실로 눈물겨울 정도이다. 예컨대 그녀가 음악 재원 임을 전제로 "맑고 청아한 목소리와 뛰어난 가창력", "무반주에도 강한 김 여사", "성악 전공자 출신다운 뛰어난 박자 감각도 화제" 등 소프라노 '조수미'가 무색할 정도의 찬사로 수준 높은(?) 평(評)을 북악(北岳)을 향해 쏘아 올렸다.

아무리 '적자생존(適者生存)' 시대를 지나 '아부생존(阿附生存)' 시대에 길들여져 있는 저급한 수준의 언론이지만 해도 해도 너무한 것 같다. 한 나라의 문화 역량을 대변하는 주류언론의 수준이 이 정도라면 대한민국의 장래는 가히 [절망의 나라]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진정한 성악가, 테너 이인범 선생을 기억하며..... 

​필자는 이 노래를 들을 때마다 성악계의 은사(恩師)가 한 분 생각난다. 바로 진정한 성악가인 테너 ‘이인범(1914~1973)’ 선생이다.

<희망의 나라로>라는 노래는 필자가 중, 고등학교에 다니던 시절 어디 가나 쉽게 들을 수 있었던 대표적 우리 가곡 중 하나이다. 그러면서도 그때는 이 노래의 의미를 잘 몰랐다. 1969년 어느 날 연세대학교에서 테너 이인범 교수에게 레슨을 받던 중 선생이 부르는 <희망의 나라로>를 들으며 젊은 가슴속에서 솟구쳐오르는 ‘희망’을 체험한 적이 있다.

이인범 교수는 일본 ‘구니타치 음악대학’의 전신인 ‘도쿄 고등음악원’을 졸업, 1939년 마이니치 신문사가 주최한 전(全) 일본 음악콩쿠르 성악부에서 1등 없는 수석으로 입상한 후 그 이듬해 동경에서 열린 기념 독창회에서 “천부의 미성(美聲)과 음악적 재질을 지닌 당대의 독보적 테너”라는 찬사를 받았다.

그러나 1953년 불의의 화재로 인한 화상(火傷)으로 코와 입 등 얼굴 한 부분이 심하게 일그러져 소리를 낼 수 없었다. 이 때문에 당시 30대 후반의 나이에 선생은 절망의 늪에 빠질 수밖에 없었지만 3년이라는 어두운 시간 속에서도 희망을 품고 각고의 노력 끝에 성악가로서 다시 재기하였다.

물론 화상으로 인해 발성 중 다소 불규칙한 바이브레이션은 감수해야 했지만 그 시절 선생이 부른 <희망의 나라로>는 우리 음악계는 물론 대한민국의 미래를 희망의 세계로 이끌어준 힘이었다.

1978년 지구레코드에서 테너 이인범 애창곡집 LP 음반을 낼 때 당시 음악평론가 고 ’유한철‘은 음반 재킷에 아래와 같은 글을 남겼다.

“그분은 분명 누구와도 비할 바 없는 아름답고 투명한 음색을 가졌다. 그러나 한 번이나마 자기 현시(顯示) 없이 인기 있을 때 음반 하나 남기지 못한 우직한 분이었다. 불탄 자리에 새싹이 돋듯 이 음반은 그의 믿음과 소원의 싹을 이 땅 위에 새롭게 뿌려주는 매개 작용을 할 것이다.”(출처-2014. 01. 21, 국민일보 기사)

테너 이인범 선생(1914~1973), 타계 5년 후인 1978년에 출반된 ‘테너 이인범 애창곡집 LP 음반(비매품) 표지 사진
테너 이인범 선생(1914~1973), 타계 5년 후인 1978년에 출반된 ‘테너 이인범 애창곡집 LP 음반(비매품) 표지 사진

관제(管制)하에 만들어낸 대한민국의 성악가

이에 비해 오늘 또 다른 성악가 소프라노 김정숙이 부른 <희망의 나라로>는 어쩐지 우리 음악계를 [절망의 나라로] 향하게 하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해외 저명 콩쿠르마다 한국인이 상(賞)을 휩쓸며 대한민국의 음악적 우수성을 선양하고 있는 오늘날의 국제적 현실에 비추어볼 때, 인터넷에서 백과사전 역할을 하는 나무위키나, 국내 일부 언론사의 기사(記事)는 공신력을 잃은 채 저급한 코미디를 하고 있는 느낌이다.

이렇듯 영부인을 앞세워 음악계를 조롱하는 세상 앞에서 필자도 평생을 음악과 함께 살아온 음악인의 한사람으로서 부끄러움과 함께 끓어오르는 분노와 절망감을 억제할 수 없다.

부디 언론은 비전문가적 견해로 마구 써대는 무익한 보도를 절제해주었으면 한다. 이는 김 여사의 노래에 대한 언론의 무분별한 미화로 인해, 클래식 음악에 이해가 부족한 일부 국민들에게 성악가의 일반적 수준을 잘못 인식시키므로 음악계의 발전을 저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의 개인적 견해로는 김 여사야말로 관제(管制)하에 만들어낸 저급한 수준의 성악가로 여겨지는바, 대한민국 음악계를 위하여 언론들은 앞으로 그녀의 이름 앞에 성악가라는 호칭을 붙이지 말아 줄 것을 간곡히 건의하는 바이다.

현재명 작사, 작곡 <희망의 나라로>. 테너 이인범의 음성으로 듣고자 한다.

진정한 성악가 이인범 선생은 50여 년 전 나의 첫 번째 스승이며 지금까지도 마음속 깊이 간직한 잊을 수 없는 은사이다.

 

“배를 저어가자 험한 바다 물결 건너 
저편 언덕에
산천경개 좋고 바람 시원한 곳 
희망의 나라로
돛을 달아라 부는 바람맞아
물결 넘어 앞에 나가자
자유 평등 평화 행복 가득 찬 곳
희망의 나라로”

테너 이인범 선생의 노래와 같이 대한민국이 “자유 평등 평화 행복이 가득 찬 희망의 나라로”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강인

 

 

예술비평가
사단법인 카프코리아 대표 
국민의힘 국가정책 자문위원(문화)

 

문화뉴스 / 강인 colin153@daum.net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