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보험사 다이렉트 채널과 플랫폼서 보험료 차별
대형보험사의 시장점유율을 지키기 위한 '카르텔' 행태
중소형 보험사는 플랫폼을 통한 시장점유율 확대 기회 잃을 위기

보험비교추천서비스, 수수료 '발목'에 좌초 위기 / 사진 = 금융위원회
보험비교추천서비스, 수수료 '발목'에 좌초 위기 / 사진 = 금융위원회

[문화뉴스 최병삼 기자] 금융당국의 소비자 편익 증진 의지는 높았으나, 플랫폼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는 출시 초반부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형 보험사들이 플랫폼을 통해 가입한 고객들에게 보험료를 더 높게 책정함으로써, 소비자들은 플랫폼을 통한 가입을 꺼리게 됐다. 이에 플랫폼을 통해 반전을 꾀하던 중소형사에게 유입되는 소비자는 미미하며 대형 보험사들은 시장점유율을 지키게 됐다.

플랫폼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는 혁신금융서비스 사업자로 지정된 11개 핀테크사가 운영하는 플랫폼을 통해 여러 보험회사의 온라인 보험상품을 비교해 주고 적합한 보험상품을 추천해 주는 서비스다.

2500만 명이 가입한 자동차보험의 비교 추천 서비스에는 ㈜비바리퍼블리카, ㈜뱅크샐러드, ㈜카카오페이, 네이버파이낸셜㈜, ㈜해빗팩토리, ㈜쿠콘, ㈜핀크 등 7개 핀테크사와 온라인 자동차보험을 취급하는 손해보험회사 10개 모두 참여한다.

용종보험 비교 추천 서비스에는 1개 핀테크사(㈜쿠콘)와 5개 생명보험사가 참여한다.

보험상품은 일상생활과 밀접하지만 정보 비대칭성이 높은 상품이다. 소비자는 보험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를 통해  여러 보험회사의 상품을 비교하고 맞춤형 상품을 추천받을 수 있다. 이에 소비자 편익 증진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당초 예상과는 다르게 플랫폼을 통한 가입한 건수가 매우 저조한 형국이다.

29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부터 25일까지 보험 비교 추천 서비스로 계약한 개인용 자동차보험 가입건수는 1000건도 되지 않는다. 차량 2500만 대 이상이 가입한 차 보험은 온라인에서만 14만 건이 갱신될 정도로 대형 상품인데, 온라인 판매의 0.7%도 안되는 수준의 계약이 이뤄진 셈이다.

당초 예상과 크게 엇나간 실적이 나온 이유는 플랫폼에서 보험을 비교 추천 받고 가입해도 가격적으로 메리트가 없다는 점이 손꼽힌다.

삼성화재, 현대해상, KB손해보험, DB손해보험 등 시장점유율 85%가량을 차지하는 대형 손해보험사들은 플랫폼과의 수수료 요율을 새로 만들어 보험료에 반영하면서 보험료에 차이를 뒀다. 실제 보험사 다이렉트 등에서 계약을 갱신하는 게 플랫폼을 이용할 때보다 3만~4만 원 정도 저렴한 상황이다.

소비자 입장에서는 굳이 더 비싼 가격을 주며 플랫폼에서 가입할 이유가 없어진 것이다.

‘가격 비교를 통해 소비자에게 선택권을 넓혀주자’라는 금융당국의 제도 도입 취지가 무색해졌다.

하지만 보험업계는 문제 될 것이 없다는 반응이다. 금융당국이 서비스 출시 전부터 보험사 다이렉트 채널과 플랫폼 비교 추천 서비스 가입시 보험료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충분히 안내해 무리가 없다는 것이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판매채널이 다르면 책정되는 보험료도 달라질 수밖에 없다"라며 "가격 결정은 각사가 결정하는 것으로, 중하위사의 경우 플랫폼을 활용해 시장점유율을 높이는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어 현재까지는 문제가 없다고 보고 있다"라고 말했다.

중소형 보험사들은 손해를 보더라도 시장점유율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플랫폼 수수료를 보험료에 반영하지 않기로 했었다. 하지만 대형 손해보험사들의 이러한 행보로 플랫폼 흥행이 예상보다 저조한 만큼 중소형사에게 유입되는 소비자도 미미할 전망이고 대형 보험사들은 점유율을 지킬 수 있게 됐다.

플랫폼 업계는 대형사들이 시장점유율을 지키기 위해 제도 취지에 어긋나는 이기주의적 행태를 보이고 있다고 비판했다. 업계 관계자는 “보험업계의 카르텔은 예상보다 굳건하고 높았다”라며 “핀테크 업체가 들어가서 시장을 뺏기엔 아직까진 역부족인 것 같다”라고 토로했다.

금융당국은 핀테크와 보험업계, 양 업계가 수수료와 보험료를 내려 보험 비교 추천 서비스를 활성화시켜야 한다는 취지에서 수수료의 보험료 중재에 나섰다.

보험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보험사들에게 자사 홈페이지 채널과 플랫폼 채널의 체계를 통일해 같은 보험료를 적용하고, 플랫폼사에게도 보험사로부터 받는 수수료율을 보험료의 1% 안쪽으로 줄이는 방안을 설득하고 있다.

이러한 중재안이 실현된다면, 각 사 홈페이지와 플랫폼에서 동일한 보험료가 제시될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플랫폼의 활성화를 기대할 수 있으며, 소비자는 더욱 다양한 선택지를 비교·검토할 수 있어 편익이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문화뉴스 / 최병삼 기자 press@mhns.co.kr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