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19일 송도 컨벤시아에서 한국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 통합학술대회 열려
(문화뉴스 이동형 객원기자 )
최근 태양광발전 비중이 급증하면서 전력 공급 과잉으로 블랙아웃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하지만 한국의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OECD 37개 회원국 중 최하위다.
이재명 정부 들어서 재생에너지 확대를 중점 정책으로 다루고 있는 가운데 인천항만공사는 전국 항만공사 중 처음으로 2040년 RE100 달성 목표를 세우고 유휴부지를 활용한 태양광발전사업을 적극 검토 중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인천대학교와 인천항만공사, 그린에너지솔루션협동조합 공동 심포지엄이 17일 인천 송도컨벤시아에서 ‘해안 유휴부지를 활용한 탄소감축 및 신재생에너지 공공개발 전략’이란 주제로 열렸다.
한국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 통합학술대회(17~19일) 세션 중 하나로 개최된 이번 공동 심포지엄은 공공 유휴부지를 활용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지역의 민간기업과 협동조합이 참여하는 방안을 적극적으로 다뤄 눈길을 끌었다.
김의경 인천대 교수(한국태양에너지학회 회장)는 이날 ‘정부의 에너지정책을 연계한 신재생에너지 추진 방안’이란 주제 발표에서 한국의 신재생에너지정책 추진 현황을 설명하고 ▲중앙부처 정책 연계 방안, ▲지자체(인천시) 연계 방안, ▲민간기업 및 협동조합 연계 방안 3개 축을 중심으로 실행 방안을 제시했다.
김교수는 민간기업 및 협동조합 연계 방안에서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외부 기관 연계로 다양한 협력사업을 발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에너지 관련 대기업과 발전사가 협동조합 등 지역 내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업과 공동 협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윤성태 인천항만공사 친환경·기술개발실장은 ‘인천항만공사 친환경·탄소중립 추진계획과 성과’란 주제 발표에서 “인천항만공사는 2021년 8월 인천항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선언을 했다”고 강조했다.
윤 실장은 “인천항만공사는 탄소중립 선언 이전에도 이미 항만탄소관리 플랫폼을 구축, 운영해 오고 있을 뿐 아니라 LNG 홍보선(에코누리호) 정박시 AMP 활용으로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윤 실장은 신정부 국정과제인 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대전환 사업으로 인천항 수상태양광 건설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인천항 수상태양광은 10㎽ 규모로 인천항 준설토 투기장 내 공유수면에 설치추진 중이다.
이동형 그린에너지솔루션협동조합 상임이사는 ‘주민 참여 지역 이익공유형 태양광발전 모델’이란 주제 발표를 통해 “지금까지 대규모 공공 유휴부지 태양광발전 시설 구축은 대기업과 발전공기업 중심으로 추진되어 왔다”며 “지역 중심 에너지전환시대에는 일정 지분이라도 지역 주민이 사업의 주체이자 수익자로 참여하는 방식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이 상임이사는 주민참여 대표적 사례로 신안군 ‘햇빛연금’과 여주 구양리 ‘햇빛두레태양광발전소’를 소개하며 공공 주차장 태양광의무화시대 인천 지역에서도 주민 참여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주제 발표에 이은 토론에는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 류권홍 변호사, 박신숙 쓰담미디어 대표가 참여했다.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은 “새 정부가 추진하는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힘을 얻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공감대가 우선이다. 이에 공공 부지에 신재생에너지 단지 조성 시 주민 수용성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일례로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후 유휴공간 활용 방안과 관련하여 지난 22대 총선 당시 이재명 대통령과 모경종 국회의원은 그 부지에 태양광을 설치해서 계양테크노밸리에 전력을 공급하겠다고 공약하여 서구 주민들이 반발하는 등 논란이 일었다. 김 사무처장은 “이에 대통령 주재 타운홀 미팅을 열어 주민 의견을 수렴해야 한다는 요구가 빗발치고 있다.”며 “참고할 대목”이라고 지적했다.
류권홍 변호사는 “현재 논의는 재생에너지 확대냐, 원전 증축이냐에 집중되고 있지만 더 중요한 사실은 신속한 송전망 확충”이라고 주장했다.
박신숙 쓰담미디어 대표는 “탄소 감축과 신재생에너지 공공개발을 위해서는 결국 해상풍력과 태양양 사업을 들 수 있는데, 대기업 중심의 해상풍력과 달리, 태양광은 주민 참여형으로 실현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특히 인천은 항만공사가 보유한 해안 유휴부지를 활용할 수 있는 지역적 이점이 있다. 따라서, 이 부지에 대한 장기 임대와 주민 소득 증대, 정책적 지원이 병행된다면 탄소 감축·에너지 자립·지역 소득 창출이라는 세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한국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 통합학술대회는 매년 20여 개국 1,500여명이 참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환경부, 국토교통부, 한국수자원공사 등 정부 기관과 지자체, 공공기관 등 50 여 기관·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사진 왼쪽부터 박신숙 쓰담미디어 대표, 이동형 그린에너지솔루션협동조합 상임이사, 윤성태 인천항만공사 친환경기술개발실장, 김의경 인천대 교수, 김송원 인천경실련 사무처장, 류권홍 변호사
문화뉴스 / 이동형 객원기자 news0613@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