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청, '역사 왜곡(의심) 도서 자문단' 가동…김대중 교육감의 확고한 역사관 아래 강력한 선제적 대응 돌입
(문화뉴스 이동구 기자) 김대중 교육감의 '올바른 역사인식 확산'을 향한 확고한 신념 아래, 전라남도교육청이 역사 왜곡 도서 유입을 근본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결연한 의지를 천명하며 본격적인 행동에 나섰다.
전남교육청은 지난 9월 30일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역사 왜곡(의심) 도서 자문단’ 1차 회의를 개최하고, 현장에 잔존 가능성이 제기된 의심 도서에 대한 전면적인 점검과 대응 체계 구축을 공식화했다.

'여순사건' 역사 왜곡 끝장! 민·관·학 협력으로 공고한 방어막 구축
이번 자문단은 단순히 도서를 심의하는 수준을 넘어, 시민사회단체와 역사 전문가가 직접 참여하는 민·관·학 협력의 모범 사례로 출범했다. 여순사건 유족회, 여순사건 범시민연대 등 지역 사회의 목소리를 담는 단체와 전문가, 전직 교원들이 힘을 합쳐 역사적 사실관계 자문, 추천 도서 목록 작성, 그리고 올바른 역사 인식 확산을 위한 자료 제공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전남교육청은 연말까지 최소 4차례의 회의를 통해 상시 점검단과 신고 게시판에 접수된 의심 도서 사례들을 철저히 논의하고, 단호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특히, 내년 2월까지 잔존 의심 도서를 모두 점검하겠다는 김영길 글로컬미래교육과장의 발언은 전남 교육의 강력한 의지를 다시 한번 보여주었다.
심의 절차 '이중 안전장치' 확보! 교육 현장 정상화에 박차
재발 방지를 위한 제도적 정비도 병행됩니다. 교육청은 학교도서관의 자료 구입·심의 절차를 대폭 강화하고, 도서관운영위원회와 발전위원회의 기능을 확대해 검증 체계를 견고히 한다.
문제가 되는 도서가 발견될 경우, 즉시 열람·대출이 중지되며 자문단과 학교도서관위원회의 이중 심의를 거치도록 절차를 표준화하여 엉터리 자료가 학생들에게 노출될 가능성을 원천 봉쇄했다.
전남교육청은 이와 함께 여순사건 유족회 간담회, 다크투어 프로그램, ‘여순사건 주간’ 운영 등 체험 중심의 다양한 역사교육 활동을 확대해 학생과 학부모들이 스스로 올바른 역사관을 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김대중 교육감의 리더십 아래, 전남교육청은 "학생들이 검증되지 않은 자료에 노출되지 않도록" 학교도서관 운영 체계를 정비하고 시민사회단체와 협력하여 "바른 역사교육 기반을 강화"해나가겠다는 흔들림 없는 의지를 실천하고 있습니다. 전남 교육 현장은 왜곡된 역사관에 맞서 진실을 가르치는 성역으로 거듭날 것이다.
사진=전남교육청
문화뉴스 / 이동구 기자 pcs8191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