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지속가능한 저출생 정책 간담회' 개최... '보성형 통합 대응체계' 공감대... 생활인구·교육·갯벌관광 등 연계 방안 제안
(문화뉴스 이동구 기자) 보성군의회(의장 김경열)가 4일 '지속가능한 저출생 정책 추진을 위한 정책연구 간담회'를 열고, 지역 소멸 위기 극복을 위한 해법 모색에 나섰다.
보성문화원 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간담회는 보성군의회 '사회복지분야 정책개발 의원연구회'(대표 김경미 의원)가 주관하고 (사)지방자치발전소가 연구용역을 수행하며 마련됐다.
간담회에는 김경열 의장을 비롯한 군의회 의원, 관계 공무원뿐만 아니라 여성단체, 청년층, 지역주민 등 다양한 주체들이 참석해 저출생 문제에 대한 현장의 목소리를 더했다.
발표를 맡은 (사)지방자치발전소 연구진은 '보성군 저출생 대응 및 지속가능한 인구정책 추진방안'을 주제로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진이 제안한 핵심 방안은 △단순 정주 인구가 아닌 '생활인구' 확대형 인구정책 추진 △실효성 있는 '인구감소 대응 조례' 제정 △타지역과 차별화되는 '보성형 교육특성화' 전략 수립 △보성군이 가진 '갯벌 관광자원'을 활용한 지역활력 강화 등이다.
특히 참석자들은 이러한 개별 정책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한다는 데 뜻을 모았다. 단순한 인구 늘리기나 복지 정책이 아닌, 인구·교육·복지·환경이 통합적으로 작동하는 '보성형 통합 저출생 대응체계' 구축이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필수적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됐다.

사회복지분야 의원연구회는 "이번 연구는 저출생 문제를 출산 장려 차원을 넘어 청년유입, 교육환경, 주거, 일자리 등 지역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정책으로 확장하려는 시도"라며, "군민의 의견을 반영한 실효성 있는 대안을 통해 체감할 수 있는 인구정책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경열 의장은 "저출생 문제는 지역의 존립과 직결된 생존의 과제"라고 절박함을 피력하며, "의회가 중심이 되어 군민이 공감하고 체감할 수 있는 실질적인 인구정책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를 주관한 의원연구회는 김경미 의원을 대표로 김경열, 전상호, 이춘복 의원이 참여하고 있으며, 결혼·출산·일자리·주거·교육 등 군민 생활 전반에 걸친 정책 연구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보성군
문화뉴스 / 이동구 기자 pcs8191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