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동요 IP 멕시코 공영방송 첫 진출...유튜브 성과 바탕 입지 확대
현지화 전략과 K-팝 스타일 음악으로 중남미 시장 공략 성공
(문화뉴스 고나리 기자)

마코빌(대표 이주현)의 글로벌 키즈 IP '치타부(Cheetahboo)'가 멕시코 공영방송 '카날 22(Canal 22)'에서 11월 5일(현지 시간)부터 방영을 시작했다.
K-동요 IP가 멕시코 공영방송에 진출한 첫 사례로, 한국 키즈 콘텐츠의 글로벌 입지를 넓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날 22는 멕시코 문화부가 관리하는 공영방송으로, 멕시코 내 시청 점유율 30~40%를 차지하는 주요 채널이다. 문화·예술·교육 콘텐츠를 중심으로 편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주현 대표는 "동요 중심 편성은 이례적인 경우"라며 "2~3분 동요를 5분 분량으로 구성해 방영하는데, 카날 22의 심사를 통과했다는 것 자체가 콘텐츠의 가치를 인정받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치타부는 멕시코 유튜브 시장에서 이미 존재감을 드러냈다. 스페인어 채널은 2025년 6월 멕시코 주간 영화/애니메이션 인기 유튜브 순위에서 1위를 기록(플레이보드 기준)하며 글로벌 IP '마샤와 곰'을 앞질렀다.
카날 22 담당자가 한국콘텐츠진흥원을 통해 마코빌에 연락하면서 이번 계약이 성사됐다. 치타부의 멕시코 유튜브 조회수가 지속적으로 높았던 점이 주요 계약 요인으로 작용했다.
치타부가 중남미에서 인기를 끄는 배경에는 차별화된 음악 스타일이 있다. 서양 동요가 느린 템포와 제한된 악기를 사용하는 것과 달리, 치타부는 K-팝 스타일의 빠른 리듬과 다양한 악기로 활력을 준다. 이런 역동성이 중남미 정서와 잘 맞는다는 평가다.
스페인어 채널은 멕시코인 네이티브 스피커가 번역과 운영을 함께 맡아 현지 친화적인 콘텐츠를 만들었다. 이 대표는 "동요는 번역 오류가 교육에 직결되기 때문에 네이티브 스피커 중심 전략을 택했다"고 말했다.
멕시코는 외국 어린이 콘텐츠에 대한 경계심이 높은 시장이다. 공영방송이 치타부를 선택한 것은 콘텐츠 신뢰도를 높이는 효과가 있다. 이번 진출은 중남미 다른 지역으로 확장하는 데 유리한 조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주현 대표는 "중남미에서 한류를 즐기던 세대가 부모가 되면서 한국 콘텐츠에 대한 거부감이 낮아졌다"며 "치타부가 K-키즈 콘텐츠의 교두보 역할을 하면 한류 지속성도 강화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치타부는 전 세계 구독자 600만 명, 월 평균 조회수 5억 뷰, 누적 조회수 50억 뷰를 달성했다. 8개 언어 채널을 통해 글로벌 시장에서 활동하고 있다.
스페인어 채널은 2025년 2월 구독자 100만 명을 넘어 골드버튼을 획득했으며, 포르투갈어 채널도 빠르게 성장하며 라틴아메리카 시장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다.
문화뉴스 / 고나리 기자 press@mhns.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