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정부, 2023년 9월 ASEA부터‘한일중’ 순서 표기하기 시작
李대통령 실용 외교 기조… ‘대중 유화·대일 강경’ 조치 해석

(문화뉴스 김영욱 기자) 이재명 정부가 동북아 3국의 공식 표기 순서를 ‘한중일(韓中日)’로 통일할 방침이다.
전임 윤석열 정부에서는 표기 순서를 ‘한일중’과 ‘한중일’로 혼용해 왔다. 이는 정부가 경주 APEC 등 한중 정상회담을 계기로 중국과의 관계 개선에 나선 가운데 나온 조치여서 대중 유화 제스처의 기조가 깔려 있다고 해석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16일 “동북아 3국 표기를 ‘한중일’로 통일해 사용하기로 했다”며 “가장 많은 사람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기로 통일해 불필요한 논란을 없애려는 것”이라고 연합뉴스에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어 “지난 정부의 표기 혼용으로 ‘어느 나라와 더 가깝나’하는 등의 소모적 논쟁이 이어졌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동북아 3국의 표기는 전임 정부 이전까지는 ‘한중일’이 일반적이었다는 것이 정부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동북아 3국 정상회의체의 경우에는 개최 순번(일본-중국-한국)에 따라 ‘한일중 정상회의’라고 쓰기는 했으나 그 외에는 한중일 순서로 언급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윤석열 전 대통령의 2023년 9월 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정상회의 참석을 계기로 정부는 동북아 3국을 ‘한일중’ 순서로 표기하기 시작했다.
이에 대해 당시 윤석열 정부 대통령실 관계자는 “우리 정부 들어 가치와 자유의 연대를 기초로 미, 일과 보다 긴밀한 협력이 이뤄지고 있어 ‘북미’보다 ‘미북’, ‘한중일’보다 ‘한일중’으로 부르고 있다”고 설명하기도 했다.
이런 가운데 나온 이번 ‘한중일’ 표기 복원 방침을 두고 정부 안팎에선 이재명 대통령의 실용 외교 기조 아래 나온 ‘대중 유화·대일 강경’ 조치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전임 정부가 일본에 편중된 외교 기조로 중국을 배제하며 실리를 잃은 측면이 있다고 보고, 실사구시의 실용 외교 기조로 대중 관계를 회복하려는 차원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이 대통령도 최근 대중 관계 복원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1일 경주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한 뒤 “한중 관계를 전면적으로 회복하고, 전략적 협력 동반자로서 실용과 상생의 길로 다시 함께 나아가게 됐다”고 평가했다.
지난 14일 핵 추진 잠수함 도입 등 중국이 민감히 반응할 수 있는 사안도 담긴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시트(공동 설명자료)를 발표하면서는 “중국과 꾸준한 대화로 양국 관계 발전을 위한 길을 흔들림 없이 이어갈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는 “외교의 핵심 가운데 하나는 균형인데, 전임 정부는 이념 외교를 하며 일본 중심으로 과도하게 치우친 측면이 있다”며 “이를 원래대로 되돌려 놓는 것이 맞는 방향”이라고 설명했다.
문화뉴스 / 김영욱 기자 brod77@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