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정훈, 주철현의 ‘기울어진 운동장’ 발언에 “시대착오적 흑백논리” 일침
소멸 위기 앞둔 전남, ‘내부 총질’ 멈추고 ‘단일대오’로 수도권과 경쟁해야
(문화뉴스 이동구 기자) 선거철이 다가오면 어김없이 고개를 드는 유령이 있다. 바로 ‘지역주의’다. 영호남 갈등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전남이라는 한 지붕 아래서 ‘동부권’과 ‘서부권’을 나누고, 네 편 내 편을 가르는 낡은 셈법 이야기다.
최근 신정훈 국회 행안위원장이 주철현 의원의 ‘동부권 소외론’을 정면으로 반박하고 나선 것은, 내년 도지사 선거가 자칫 소모적인 ‘집안 싸움’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위기감의 발로다.
신정훈 위원장은 20일 페이스북을 통해 작심한 듯 쓴소리를 뱉었다. 주철현 의원이 최근 “서부권 중심의 도정으로 전남의 3분의 2가 배제됐다”며 사실상 김영록 지사를 겨냥해 ‘동부권 홀대론’을 들고나온 것에 대한 반박이다.
신 위원장은 이를 두고 “전형적인 이분법적 흑백논리이자 교묘한 갈라치기 선동”이라고 규정했다.
신 위원장의 지적은 뼈아프면서도 논리적이다. 주 의원은 “전남 경제 기반이 동부권의 석유화학·제철에 있다”고 자부하면서, 동시에 “동부권이 소외됐다”고 주장한다. 경제의 핵심축을 쥐고 있는 지역이 소외됐다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며 ‘자가당착’이라는 것이 신 위원장의 해석이다.
더 중요한 것은 전남이 처한 현실이다. 지금 전남은 동·서·남·북을 가릴 것 없이 ‘소멸’이라는 거대한 파도 앞에 서 있다. 동부권은 석유화학·철강 산업의 글로벌 침체로 위기를 맞고 있고, 서부권은 빈약한 산업 기반 탓에 허덕인다. 광주 인근 시군조차 인구 유출을 막지 못하고 있다. 전남 전체가 ‘응급실’에 누워있는데, “오른팔이 더 아프냐, 왼팔이 더 아프냐”를 따지며 싸우는 꼴이다.
신 위원장의 말처럼 지금 필요한 것은 ‘분열’이 아니라 ‘통합’이다. 여수의 산단과 광양의 제철, 서남권의 해상풍력과 솔라시티, 무안공항 활성화는 서로 다른 지역의 이익이 아니라 ‘하나의 전남’을 지탱하는 기둥들이다. 이 기둥들을 엮어 서울과 경쟁하고 지방 소멸을 막아내는 것이 도지사가 되겠다는 사람의 비전이어야지, 도민을 반으로 쪼개 표를 얻으려는 계산은 하책(下策) 중의 하책이다.
전남은 178만 도민이 똘똘 뭉쳐도 생존을 장담하기 어려운 시대에 살고 있다. 5개월 전 행사의 의전 문제를 끄집어내어 지역감정을 자극하는 정치는 이제 박물관으로 보내야 한다. 신정훈 위원장의 “전남이 뭉치면 살고 갈라지면 죽는다”는 호소는 단순한 정치적 레토릭이 아니다. 그것은 전남 정치가 나아가야 할 유일한 생존 방정식이다.
문화뉴스 / 이동구 기자 pcs8191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