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대는 일종의 무력동원이고 위안부는 성 노예로 동원된 것, 둘 다 피해자인 것은 마찬가지
정의연 '90년대까지만 해도 피해자 증언이나 학술 연구가 부족해 구분이 제대로 안되었다'

[문화뉴스 MHN 박혜빈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운동을 이끄는 이용수(92) 여성인권운동가가 '수요집회'에 더 이상 참석하지 않겠다는 기자회견을 열면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에게 온 후원금을 제대로 지급하지 않았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용수 운동가는 2차례 기자회견을 통해 '정의연'의 회계 의혹을 제기하고 '정의연'의 전 이사장이었던 윤미향 더불어시민당 비례대표 당선인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또 이 운동가는 정신대 피해자들이 위안부 피해자를 이용했다는 취지의 발언도 했다. "정신대는 공장에 갔다 온 할머니들"이라며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에 대해) 정신대 할머니와 함께하는 시민모임이 이 위안부를 정신대 할머니와 합의해 쭉 이용해 왔다"고 주장한 것.

정신대는 일본 군수공장으로 끌려가 군수품을 만드는 강제 노동을 한 일종의 무력동원이었고, 위안부는 세계 2차 대전 당시 일본군이 만든 위안소에서 성노예 생활을 강요당한 여성을 의미한다. 모두 엄연한 피해자인 것은 맞지만, 정신대는 아무래도 돈을 받고 일하러 간 이들도 포함돼 있어 이들이 위안부 피해자와 같은 선상에 놓이는 것에 이용수 운동가가 불쾌감을 드러낸 것으로 보인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가 25일 오후 대구 수성구 만촌동 인터불고 호텔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출처: 연합뉴스

기자회견 뒤 인터넷 커뮤니티에서는 정신대와 위안부의 모호한 경계를 악용해 상대적으로 더 관심을 많이 받는 위안부 피해자를 함께 끼워 운동한 것 아니냐는 지적과 어차피 모두 일제 강점기 피해자인데 굳이 나눠야 할 이유가 없다는 의견이 엇갈리며 거센 논쟁이 일었다.

한 일제 피해자 단체의 대표인 A씨는 "정신대는 돈을 벌기 위해 일을 한 것이고, 위안부는 끌려가 성 노예가 된 것인데 어떻게 같으냐"면서 "정신대만으로는 모금이 잘 안 되니 정대협이 위안부 할머니를 데리고 다닌 것"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서울대 역사교육과 김태웅 교수는 정신대와 위안부 피해자를 구분해 정신대 피해자는 피해가 적다는 식으로 비하해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정신대도 강제동원인 것은 마찬가지"라면서 "90년대까지만 해도 피해자 증언이나 학술연구가 부족해 구분이 제대로 안 된 것은 사실"이라며 "모두 엄연한 피해자인데, 굳이 분리해야 할 필요가 있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정의연' 역시 '정대협'이 정신대를 위해 만들어진 단체라는 이용수 할머니의 주장에 대해, 용어 사용이 혼용돼 있던 시기 정대협이 결성되면서 생긴 오해라고 반박했다. '정의연(정의기억연대)'은 ‘정대협’(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과 ‘정의기억재단’이 2년 전 합쳐져 만들어졌다.
 
'정의연'은 지난 25일 홈페이지에 설명자료를 올리고 "1990년대 초 (정대협이) 활동을 시작할 당시에는 (위안부) 피해의 실상이 알려져 있지 않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정신대'라는 용어를 사용한 것"이라며 "실제 일제 식민지 하의 제도상 혼용이 존재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정대협'은 단체 이름에 위안부가 아닌 정신대가 들어가지만, 주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해왔다.

 

----

정신대는 일종의 무력동원이고 위안부는 성 노예로 동원된 것, 둘 다 피해자인 것은 마찬가지
정의연 '90년대까지만 해도 피해자 증언이나 학술 연구가 부족해 구분이 제대로 안되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