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미싱 범죄, 안막는 것인가?, 못 막는 것인가?...범죄수법 날로 교묘해져  [이미지=문화뉴스 그래픽 팀]
스미싱 범죄, 안막는 것인가?, 못 막는 것인가?...범죄수법 날로 교묘해져  [이미지=문화뉴스 그래픽 팀]

 

[문화뉴스 윤동근] 스미싱 문자를 완전히 원천 봉쇄하는 것은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이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를 통해 악성 코드가 설치되거나 개인 정보가 탈취되는 금융 사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사기 방법들은 다양하고 지능적이어서 완벽한 차단이 쉽지 않다.

스미싱 공격은 종종 실제 은행이나 기관처럼 보이는 가짜 메시지를 보내 사용자를 속이며, 이들 메시지는 종종 은행 계좌 접근 정보나 다른 중요한 정보를 빼내려 하고 있다. 

사용자는 알려진 출처가 아닌 경우에 문자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를 클릭하지 않아야 하며, 은행이나 기타 기관에서 보낸 것처럼 보이는 메시지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헌다.

SMS 스푸핑 기술을 통해 공격자들은 전화번호나 짧은 코드를 가장할 수 있으며, 이는 문자 메시지가 합법적인 것처럼 보이게 할 수 있다. 또한, 악성코드를 통해 스마트폰에 접근하려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

통신사와 관련된 조치로는, 발신번호 변경을 통한 스미싱 방지를 위한 노력이 있다. 예를 들어, 발신번호를 변경해 문자메시지를 발송하는 경우 해당 SMS를 차단하는 제도를 실시하기도 했다. 또한, 인터넷발송 문자의 경우 [WEB 발신]이라는 표시 서비스를 통해 위험을 경고하는 방안도 도입되었다. 하지만, 인터넷발송 SMS의 경우 번호 변작 통제에 한계가 있어 여전히 발신번호 변경이 가능하다​​​​.

최종적으로 스미싱 문자 차단은 사용자의 주의와 함께 통신사와 정부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한 복합적인 문제이다.

스미싱, 보이스피싱 피해자들은 관계부처의 지속적인 수사와 범죄집단의 강력한 처벌, 범죄수익의 완전한 환수를 촉구하고 있다.

 

문화뉴스 / 윤동근 press@mhns.co.kr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