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리스트, 숏리스트, 파이널리스트 순의 과정을 거쳐 최종 후보 1인을 선발
현 회장의 연임...개선안 도입으로 가능 VS 정부 불화로 어려움
KT의 리더십 공백 사태의 전철을 밟을까 우려섞인 목소리도 존재
포스코 차기 회장 선임, 관치 리스크 극복이 관건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전경/사진=포스코홀딩스
서울 강남구 포스코센터 전경/사진=포스코홀딩스

[문화뉴스 최은서 기자] 포스코그룹이 차기 회장 인선 절차에 본격 착수하며 세계 7위 철강기업을 이끌어갈 차기 리더십에 대해 관심이 뜨거워지고 있다. 

포스코홀딩스가 지난 21일 임시이사회를 열어 후보추천위 운영을 의결하고 차기 회장 선임절차를 개시했다. 후보추천위는 총 7명으로 위원장인 박희재 서울대 교수를 포함해 전원 사외이사로 구성됐다. 최종 후보 1인은 롱리스트, 숏리스트, 파이널리스트 순의 과정을 거쳐 확정되며 현재 후보추천위는  롱리스트 작성을 위해 회장 후보군 발굴에 집중하고 있다.

후보자 추천과정인 롱리스트는 내년 1월 8일경에 완료될 예정이다. 이어, 1월 말에는 롱리스트의 후보들을 '회장 후보 인성 자문단' 평가를 참고해 5명 내외로 압축한 숏리스트를 작성한다. 내년 2월에는 파이널리스트 심층면접을 거쳐 최종 후보 1인을 확정하고 최종 후보는 내년 3월 이사회 주주총회의 동의를 얻어 회장으로 선임된다.  

롱리스트 후보는 경영역량, 산업 전문성, 글로벌 역량, 리더십, 진실성/윤리의 5가지 항목을 기준으로 심사되며 포스코 내부 전·현직 인사들이 후보군에 거론되고 있다.  

내부 현직 임원진으로는 김학동 포스코 부회장, 정탁 포스코인터내셔널 부회장, 정기섭 포스코홀딩스 사장이 거론되고 있다. 포스코 출신 외부 인사들로는 황은연 전 포스코 인재창조원장, 조청명 전 포스코플렉텍 사장 등이 후보 물망에 오른 것으로 보인다. 

5일 아부다비에서 열린 ‘혁신기술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 하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사진=포스코홀딩스
5일 아부다비에서 열린 ‘혁신기술 컨퍼런스’에서 기조연설 하는 최정우 포스코그룹 회장/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의 차기 회장 후보군의 윤곽이 잡혀가는 가운데 최정우 현 회장의 연임 도전에도 관심이 모이고 있다. 내년 3월에 임기가 끝나는 최 회장은 아직 연임 의사를 밝히지는 않았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새로 바뀐 인선 절차 규정에 따라 최 회장이 차기 회장 후보군에 합류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최근 포스코그룹이 새로운 회장 선임 방식인 ‘포스코型 新지배구조 개선안’을 도입해 정부의 개입을 차단하는 액션을 취했기 때문이다. 현직 회장의 연임 우선 심사제 폐지, 외부 인사만 참여한 회장 후보 인선 자문단도 구성 등의 내용이 포함된 개선안은 공정성 증대를 위해서도 있지만, 전 정부가 임명한 최정우 현 회장에게 보호막이 되는 장치로 작용한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개선안을 통해 정부의 개입이 어려워지면, 후보추천위가 최 회장의 재임 시절 성과에 기반해  후보군에 포함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최 회장은 이차전지 소재·에너지 사업에 적극 투자해 포트폴리오 다변화를 이끌며 포스코그룹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이와 더불어 현 정부가 내년 4월 총선을 앞두고 회장 선임 과정에 함부로 개입할 수 없는 상황이라 최 회장 측에 다소 여유가 있다는 입장이라는 의견도 있다. 

포스코 본사 전경/사진=포스코홀딩스
포스코 본사 전경/사진=포스코홀딩스

반면, 일부에서는 현 정부와의 불화를 이유로 최정우 회장의 3연임 가능성을 낮게 보는 경우도 있다. 특히, 최 회장이 윤석열 대통령의 해외 경제사절단 등 주요 행사에 모두 배제되며 불화설에 힘이 실렸다. 

포스코의 회장 선임에는 항상 공공연하게 '정권 개입설'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곤 한다. 전임 회장들도 정부의 주요 행사에서 제외되는 '패싱'으로 불화설에 시달리다 임기를 채우지 못하고 회장직을 내려놓는 비슷한 상황이 되풀이 되었기 때문이다. 지난 2000년 민영화 이후 8명에 이르는 포스코의 역대 회장들이 모두 정권 교체 시기와 맞물려 퇴진하면서 외압설이 정설로 굳어지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포스코가 KT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우려 섞인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KT는 대주주인 국민연금공단이 구현모 전 대표의 연임을 반대하면서 약 8개월 동안 리더십 공백 사태를 겪었다. 이를 두고 국민연금공단은 구조적으로 정부의 입김에서 자유롭기 어렵다는 평이 주를 이뤘다. 국민연금공단이 포스코의 최대 주주라는 점에서 의견 합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KT가 겪었던 CEO 공백을 포스코도 겪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기업의 미래 운명을 결정할 차기 회장의 선출에 있어 외압에 휘둘리는 상황이 지속되는 것은 포스코의 경쟁력에 약점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번에야말로 포스코가  '관치 리스크' 극복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회장 선임에 성공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