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뉴스 MHN 양미르 기자] * 영화 '택시운전사'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영화 '택시운전사'에서 '만섭'(송강호)은 감정과 정서를 느끼는 포인트와 타이밍이 광주시민들과 다르게 나타난다. 마지막 부분에 어느 정도 공조된 감정을 가지고 있지만, 자신의 연락처와 이름을 밝히지 않으면서 다시 빠져나가게 된다. 영화에서 한 번이 아니라, 두 번의 변화를 통해 인물과 영화를 굉장히 고급스럽게 표현하게 되는 부분이 등장한다. 송강호는 어떻게 그 부분을 느끼고 표현했을까?

지난 7월 10일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택시운전사' 언론/배급 시사회가 열렸다. 시사회 이후 이어진 기자회견에서는 장훈 감독과 배우 송강호, 류준열, 그리고 유해진이 참석했다. 2일 개봉한 '택시운전사'는 1980년 5월, 서울에서 광주까지 외국손님인 독일기자 '피터(토마스 크레취만)'를 태우고 간 서울 택시운전사 '만섭'의 이야기를 담은 영화다.

 

송강호는 "영화 속에서 극 중 이름은 '김만섭'으로 나오지만, 실제로 위르겐 힌츠페터 기자가 받았던 '김사복' 씨의 연락처가 있다"라면서, "이제 그 분이 살아계시는지 돌아가셨는지는 잘 확인이 안되지만, 그 분의 마음도 똑같지 않았을까 한다. 두려움보다는 가장 자연스러운 인간의 감정을 가지고 있지 않았나 생각이 들고, 이 '택시운전사'라는 영화가 물론 다른 배우들의 역할도 있지만, '김만섭'이라는 주인공의 거창한 정치적인 이념과 사회적인 발언, 이런 걸로 이 사건과 인물을 대한다고 생각은 들진 않았다"라고 입을 열었다.

이어 송강호는 "그렇지만 가장 이 사람에게 중요한 것은 택시기사의 도리든, 인간적인 도리든 가장 사람이 살아가는 데 가장 무엇이 중요한가를 정확하게 알고 계시지 않았나라고 생각한다"라면서, "그런 점에서 어떤 감정이나 상황을 정했던 것 같다. '김사복'이 본명인지 가명인지 모르겠습니다만, 그것을 적어줄 때는 그만큼 그 때 만큼의 또, 그 분의 처한 상황들을 속에서 자연스럽게 나온 게 아닐까라고 봤다. 자연스럽게 그렇게 받아들이고 연기했던 것 같다"라고 답했다.

mir@mhns.co.kr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