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원전 건설 계획 주목…해외 주요국들 속속 원전 복귀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지난달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경주 엔비디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경주 연합뉴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가 지난달 31일 경북 경주 예술의전당 원화홀에서 열린 2025년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경주 엔비디아 기자간담회에서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경주 연합뉴스

(문화뉴스 이기철 기자) 한국이 엔비디아로부터 인공지능(AI)의 핵심 부품인 고성능 그래픽처리장치(GPU) 26만장을 확보함으로써 국내 AI 생태계가 강화될 것이라는 기대 속에서 이를 가동할 전력 인프라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된다. GPU는 정부와 삼성·SK·현대차에 5만장씩, 네이버엔 6만장이 2030년까지 우선 공급된다.

삼성과 SK, 현대차와 네이버는 반도체와 자동차 생산 공정에 활용하는 스마트팩토리, 피지컬 AI와 로보틱스, 생성형 AI와 클라우드 등 각자의 사업영역에 GPU를 활용할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블랙웰 GPU 26만장은 AI 데이터센터 5개를 구축할 수 있는 분량으로 본다. 이들 GPU에는 고대역폭메모리(HBM3E) 208만개가 장착된다. HBM 물량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공급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래픽 연합뉴스
그래픽 연합뉴스

문제는 GPU를 구동하는 드는 전력을 어떻게 확보하느냐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오픈AI의 챗GPT 검색시의 평균 전력 사용량은 구글의 일반 검색 대비 9.7배에 이른다. AI를 비롯한 데이터센터가 ‘전기 먹는 하마’인 셈이다. 정부의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는 이 같은 전력 수요 급증이 반영되어 있지 않다. 2030년엔 625TWh(테라와트시)가 소비될 것으로 추산되어 있다.

전문가들은 GPU 26만장을 기준으로 480MW(메가와트)의 전력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한다. 1년 내내 24시간 풀 가동할 경우 2.7~4.4TWh가 소요된다. 인구 20만의 신도시 2곳이 사용하는 전력량과 비슷한 규모다. 업계 관계자는 “이런 규모의 전력 인프라를 구축하는 데 최소 6~8년은 걸릴 것”이라고 말했다.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26만장의 GPU가 다 들어오는 시점은 2030년이이서 지금부터 전력 확보 방안에 나서야 한다는 의미다. 전력을 획기적으로 늘리지 않을 경우 비싼 GPU를 확보했지만 제대로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6년부터 2040년까지 적용되는 제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을 내달부터 시작한다. 12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은 정부가 최근 공개한 2035 국가 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반영할 보인다. 이에 따라 해상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비중이 높아질 전망이다.

미국 위스콘신 주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AI 데이터센터 모습. 마이크로소프트 블로그
미국 위스콘신 주에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새로운 AI 데이터센터 모습. 마이크로소프트 블로그

11차 계획에 있던 소형모듈원전(SMR)을 비롯한 대형 원전 건설이 12차 계획에도 담길지 주목된다. 이와 관련해 AI발(發) 막대한 전력 수요로 해외 주요 국가들이 원전으로 복귀하고 있다. 미국은 1979년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이후 처음으로 원전 건설로 정책을 바꿨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는 2050년까지 원자력 발전 용량을 4배로 늘리겠다고 발표했다. 일본, 프랑스, 영국, 중국, 인도, 스위스 등은 기존 원전 수명 연장과 신규 원전 건설에 나서고 있다.  에너지 주권 및 전력공급의 안정성을 위해 각국이 원전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추세다.

문화뉴스 / 이기철 기자 thecenpen@gmail.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