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시 국어교사 "피해 아이들이 이 특보 아들 전학 막아달라 부탁했다"

사진=이동관 특보 '아들 학폭' 관련 기자회견/연합뉴스 제공
사진=이동관 특보 '아들 학폭' 관련 기자회견/연합뉴스 제공

[문화뉴스 장성은 기자] 이동관 대통령실 대외협력특별보좌관 아들에게 학폭 피해를 당했다고 지목된 피해자 A씨가 언론에 피해자가 아니라는 입장문을 보낸 가운데, 당시 하나고등학교 전경원 교사의 학폭 폭로가 본인 개인 비리를 덮기 위한 수단이었는지 공익 제보였는지 의문을 낳았다. 

최근 학폭 의혹이 거세지자 피해자로 지목된 A씨는 언론에 입장문을 보내 "나는 진짜 학교폭력 피해를 본 다른 분들처럼 정신적으로 힘들어 상담받거나 외상으로 병원에 간 적도 없다. 가해 학생이라 불리는 친구로부터 사과받았고, 이미 화해했으며 뒤에는 문제없이 잘 지내고 있었다"며 "나를 학폭 피해자로 간주하며 조명하는 것이 큰 스트레스다. 그러니 제발 더 이상 나를 학폭 피해자로 분류하지 말아 주시길 부탁드린다"고 호소했다. 

하지만 전 씨는 "한 특정 교사가 일차적 상황 파악을 위해 겪었거나 알고 있는 피해 사례를 모두 적어달라고 해, 공식적으로 사용되지 않을 거로 생각하고 다소 편한 마음으로 작성한 것"이라는 A씨의 입장문에 침묵했다. 

이 특보 아들의 학폭 사건은 2015년 8월 하나고 교사 전경원 씨가 서울시의회 행정사무조사에 출석해 폭로한 데서 수면 위로 올라왔다. 이명박 정부 시절 이동관 청와대 홍보수석 아들이 학폭을 저질렀지만 학교 측에서 이를 은폐했다고 주장한 것이다.    

여기서 세간에 의문이 제기되는 지점은 전 씨가 학폭을 폭로한 시점이 발생한 시기인 2011년이 아니라 4년이 지난 뒤인 2015년이라는 것이다. 당시 전 씨는 승인받지 않은 외부강의를 하면서 학교 내부 정보를 유출한 사유로 징계를 앞뒀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하지만 전 씨는 지난 12일 MBC 라디오 '신장식의 뉴스하이킥'에 출연해 "제가 공익제보를 한 시점이 2015년 8월 26일이었고, 국정감사도 그해 9월에서 10월에 있었다. 저에 대한 보복 징계는 그로부터 1년이 지난 시점인 2016년 10월 31일 자로 제가 해임 처분의 보복 징계를 받았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 씨의 입장은 본인 개인 비리를 덮기 위해 학폭 사건을 폭로한 것이 아니라 이 특보 아들 학폭을 공익 제보한 뒤 학교 측에서 보복 징계를 내렸다는 것이다. 

하지만 당시 하나고는 전 씨의 주장이야말로 앞뒤가 맞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전 씨에 대한 징계위 소집은 내부 고발에 대한 보복이 아닌 법적인 과정을 통해 징계절차를 밟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 교사에 대한 문제점은 지난 7월 조사가 마무리돼 징계 절차를 8월 중에 추진할 예정이었지만 당시 서울시의회 특위 및 국회 국정감사 등을 앞두고 있어 학교장 요청으로 보류상태에 있었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에서 열린 2015년 국회 국정감사에서도 전 씨가 학폭을 폭로할 당시 이미 징계절차가 진행 중이었다는 정황이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회선 의원은 증인으로 출석한 당시 하나고 교감 정모 씨에게 전 씨가 학교 내부비리 문제를 제기한 것이 먼저인지, 본인 징계 절차가 진행되고 나서 폭로한 것인지를 묻자, 정 교감은 "징계 절차가 진행되는 도중에"라고 답했다. 

머니투데이에 따르면 전 씨가 학폭 의혹을 제기했던 당시 하나고 국어 담당 유 교사도 의혹에 반박하는 단식투쟁을 벌이면서 사과를 요구했다고 한다. 유 교사는 2015년 9월 "전경원 교사의 주장은 왜곡됐으며, 이에 하나고 학생들이 심적으로 고통받아 단식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유 교사는 또한 이 특보 아들이 전학 가기 전에 피해 학생들이 유 교사를 찾아와 이 특보 아들의 전학을 막아달라고 부탁했다고 했다. 본이 피해 진술서를 받은 것은 2012년 중간고사가 끝난 직후였다고 한다. 

유 교사는 "이미 이 특보 아들과 화해한 내용이라며 전학 처분을 취소해 달라고 부탁했고, 제가 거절했더니 한 학생이 ‘왜 선생님 소망을 위해 나를 이용하느냐’고 반박했다"며 "괴롭힘을 당했던 학생들이 가해 학생의 전학을 막기 위해 백방으로 노력한 것이 당시 제 상식으로는 이해되지 않았지만, 인제 와서 보면 이 또한 성장기 아이들의 변화무쌍한 특성이 아니었나 싶기도 하다"고 말했다.

그뿐만 아니라 2015년 9월 하나고 졸업생 203명은 '스스로 판단해 행동하라고 가르친 선생님께서 왜곡된 발언을 한 것에 깊은 슬픔을 느낀다'는 비판 성명을 냈다.  

당시 전 씨가 담임을 맡은 2학년 학급 학부모 21명은 임을 교체해달라는 탄원서를 제출하기도 했다. 한 학부모는 전 씨가 본인 외부활동에 학생들의 생활기록부를 공개하면서 학생 정보를 이용했다고 주장했다.

이 특보 아들 학폭을 둘러싸고 전 씨와 당시 관계자들의 진술이 엇갈리면서 학폭 사건이 정치적 다툼으로 이용된 건 아닌지 일각에서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