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 제자백가의 안톤 체홉 작 이항재 역 장서현 각색 홍현우 연출의 '체홉 여자를 읽다'

   
 

[문화가 있는 날·예술이 있는 삶을 빛냅니다…문화뉴스]

체홉의 희곡으로는 <숲의 정령> <이바노브> <갈매기> <세 자매> <바냐 아저씨> <벚꽃 동산> <곰> <청혼> <담배의 해독에 관하여> 등이 공연되었고, 단편소설은〈관리의 죽음〉(1883) <우수〉(1885)〈키스〉 <사랑에 대하여〉〈귀여운 여인〉(1898)〈약혼녀〉(1902)〈개를 데리고 있는 여인〉(1899)〈카멜레온〉(1884)〈초원〉(1888)〈6호 병실〉(1892) 〈사할린섬〉(1890)〈아리아드나〉〈결투〉(1892) 등이 소개되었다.

번역을 한 이항재 교수는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고려대학교 강사, 고리키 세계 문학 연구소 연구 교수, 한국 러시아 문학회 총무 이사 및 부회장을 지내고 현재 단국대학교 노어노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투르게네프 : 사냥꾼의 눈, 시인의 마음』, 『소설의 정치학 : 투르게네프 소설 연구』 등의 저서와 『러시아 문학사』, 『러시아 문학 비평사』, 『첫사랑』, 『숄로호프 단편선』 등의 역서, 러시아 문학에 관한 많은 논문이 있다.

무대는 첫 장면에 긴 나무 벤치로 여행 가방을 든 여인들이 등장하면서 시작된다. 장면이 바뀌면, 침대, 책상, 약장 등을 출연자들이 이동시키고, 긴 안락의자와 탁자, 긴 탁자와 의자 등 대도구는 물론, 램프, 낚시대, 술잔, 쟁반, 여행용 트렁크 같은 소품도 출연자들이 운반한다.

연극은 네 개의 에피소드로 구성이 되고, 연극의 도입에 각 장면의 여주인공 세 사람이 긴 나무 벤치가 놓인 정거장 앞에 모여들어 차를 기다리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장면이 바뀌면 깊은 밤, 천정이 무너져 내를 듯 코를 골아대는 남편 대신 약국 문을 여는 예쁜 아내와 두 병사의 이야기가 펼쳐진다. 병사 중 멋진 청년에게 마음과 몸을 살포시 열어 보이며 술까지 대접하는 여인의 모습이 100년 전의 러시아의 풍경 같지만은 않다.

장면이 바뀌면 낚시터에서 두 남자가 낚시질을 하는 모습이 여간 한가롭게 보이지가 않는다. 이곳에 귀엽게 생긴 여인이 감자를 삶아가지고 등장해 젊고 매력적으로 보이는 한 청년 낚시꾼에게 다가가 감자 바구니를 펼쳐 놓는다. 정성스레 가져온 감자를 청년에게 내미는 모습에서 연인 사이인 것으로 생각하게 될 즈음, 가까운 철길로 기차가 지나가는 효과음과 함께 여인이 펼쳐든 양산으로 자신을 가리며, "남편이 탄 기차예요" 하는 소리에 "아!"하는 탄성과 고개를 끄덕이는 관객의 모습에서, 양지바른 길에 피어오르는 봄날의 아지랑이 같은 여인의 마음을 읽어낼 수가 있다.

세 번째 이야기는 부인을 여러 명 살해한 남성의 이야기다. 결혼도 여덟 번 이나 한 것으로 소개가 되고, 차례로 부인을 살해한 동기가 펼쳐진다. 별의별 살해이유로 관객의 공감대를 형성시키기라도 하려는 듯, 남성이 여인 중 한 명과 부르는 뮤지컬 <오페라의 유령>의 가사를 바꿔 열창을 하는 모습은 기억에 남는다.

마지막 장면은 남편의 친구로부터 5년간 구애를 받은 여인의 이야기다. 상대남성은 훤칠한 매력남이기도 하지만, 5년의 세월동안 초지일관 자신의 사랑을 여인에게 표하고, 그래서인지 여인의 강하기가 금강석 같던 마음의 문이 어느 결엔가 다소곳이 상대에게 틈을 벌여주게 되면서, 드디어 열정적으로 상대에게 입술을 내어맡기는 장면은 관객의 가슴을 요동치게 만드는 듯싶다. 여성관객이 극에 몰입하는 광경이 예사롭지가 않게 느껴지는 연극이다.

마지막 장면은 첫 장면에서처럼 세 여인이 긴 나무벤치에 앉아 음식을 나눠 먹으며 차를 기다리는 모습에서 연극은 마무리를 한다.

   
 

윤성원, 장재권, 임한창, 박정림, 고훈목, 이재영, 문현영, 노혜란 등 출연자 전원의 성격창출과 호연이 관객의 갈채를 이끌어 낸다.

조명 김종석, 조명보 김민재, 사진 장지융, 일러스트 디자인 김도경, 오퍼 이평환·차예지, 기획 밍기획 등 스텝의 노력과 기량이 드러나, 극단 제자백가의 안톤 체홉 작, 이항재 번역, 장서현 각색, 홍현우 연출의 <체홉, 여자를 읽다>를 기억에 남는 성공적인 공연으로 만들어 냈다.

#문화뉴스 공연칼럼니스트 박정기(朴精機)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