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의 건축·의례·복원 이야기 한눈에
영춘헌 개방·아이 체험존 운영… 왕실 기록 ‘무신진찬의궤’ 생생 재현

600년 왕궁 창경궁 열린다…‘동궐’ 전시 개막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600년 왕궁 창경궁 열린다…‘동궐’ 전시 개막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김지수 기자) 창경궁의 600년 역사를 조명하는 특별 전시가 시작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이 오는 30일부터 창경궁 집복헌에서 ‘동궐, 창경궁의 시간’ 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세종이 태종을 위해 1418년 건립한 수강궁에서 비롯된 창경궁의 기원을 시작으로, 성종 14년(1483) 확장, 일제강점기의 훼손, 광복 이후의 복원까지 창경궁이 걸어온 여정을 한눈에 보여준다.

전시는 창경궁이 조선시대 ‘이궁’이자 창덕궁과 함께 ‘동궐’로 불리며 왕실의 주요 공간으로 기능한 역사적 흐름을 중심으로 구성됐다. 궁궐 내에서 펼쳐졌던 국가 의례, 국정 운영, 왕실 구성원의 일상 등 다양한 궁궐의 면모가 사료와 함께 소개된다.

특히 일제강점기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섰던 ‘창경원’ 시기의 아픔과, 해방 이후 복원 과정을 담은 자료들이 공개돼 창경궁이 겪은 시련과 회복의 과정을 집중적으로 조명한다.

청각 및 시각 장애인을 위한 수어 해설 영상과 점자 안내 책자도 마련된다.

오는 30일부터 11월 16일까지는 평소 출입이 제한됐던 영춘헌 전각이 개방된다. 이곳에서 증강현실(AR) 기술이 접목된 태블릿을 이용해 헌종 14년(1848) ‘무신진찬의궤’ 속 왕실 연회 장면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무신진찬의궤’는 헌종이 순원왕후와 신정왕후의 생일을 기념해 열린 궁중 연회를 기록한 의궤로, 당시 궁중 의식과 문화를 체감할 수 있는 귀중한 자료다.

전시 공간에는 아이들과 가족 단위 관람객을 위한 체험 활동도 함께 마련됐다. '동궐도' 속 창경궁 전각 위치를 스티커로 맞추는 활동, 궁궐 내 포토존, 휴식 공간 등이 있다.

이번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은 별도의 사전예약 없이 누구나 무료로 관람 및 이용이 가능하나, 창경궁 입장료는 별도로 납부해야 한다.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 김지수 기자 press@mhns.co.kr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