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진핑 주석, AI 최대 국가과제 인식
국력 총동원, AI 통해 패권경쟁 역전 꿈꿔
중국 특유 정치 체재, AI 발전 가속해

사진=중국의 AI 굴기(屈起)/ 픽사베이 제공
사진=중국의 AI 굴기(屈起)/ 픽사베이 제공

[문화뉴스 박모세 인턴기자] "인공지능은 차세대 과학기술 혁명과 산업 혁명을 이끄는 전략적 기술, 이끄는 힘이 매우 강력한 선두 기러기 효과를 낸다" 시진핑 중국 주석의 발언이다.

중국은 미국에 이어 AI 2위의 국가이다. AI 종합지수에서 미국을 이어 2위의 위치를 차지한다. 2위와 3위의 격차가 커서 사실상 미국과 중국이 AI 패권을 두고 경쟁할 것으로 여겨진다.

AI 기술의 기업화와, 구현 면에서는 미국에 비해 아직 부족하다. 하지만 AI 논문의 질과 수, 대학 경쟁력은 미국을 능가하고 세계 1위를 차지하여 그 격차를 벌리고 있다. 

2017년 7월, 2030년까지 세계 1등의 AI 국가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해 AI 발전 중장기 계획인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계획'을 발표했다.

2020년을 AI와 실물경제가 완전히 융합되는 원년으로 공표하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와 경제성장의 동력으로 AI 기술을 이미 사회에 적용하고 사용 중이다.

중국의 AI 전략은 AI 기초기술을 확보하고, 이를 활용할 기업을 양성하고, 변화하는 사회에 맞춰 규정을 바꾸는 것이 핵심이다. 

이렇게 특정 기술 분야에 목표를 세우고 전 국력을 동원하는 일은 중국에 크게 낯선 일이 아니다. 덩샤오핑 정부 시절부터 공대 출신 지도자들이 권력을 잡으며 과학기술이 제1의 과제임을 천명하였다. 교육, 기업, 특허 등의 부분에서 국가가 강력하게 개입하여 혁신을 시도해왔다.

그리고 현재, 중국이 미국과 패권 경쟁에서 어려움을 겪고, 빈부격차, 성장 동력 상실 등의 문제가 부각되는 상황에서 중국은 AI가 이러한 문제를 단번에 뒤집을 역전 카드가 되길 바란다. 

사진=중국 선전 시의 자율주행자동차/ 연합뉴스 제공
사진=중국 선전 시의 자율주행자동차/ 연합뉴스 제공

모든 국가가 AI를 국가과제로 인식하고 노력하지만, 중국은 그중에서 특별한 부분이 있다. 중국 특유의 정치 체재와 연관되는 것이다. 

먼저 시진핑 국가 주석의 장기적 집권 체재로, 권력이 바뀌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정책의 폐기나, 방향의 변동이 타국에 비해 적다. 시진핑 주석이 AI를 가장 중요하게 여기고 있는 이상, AI 정책이 일관되게 장기적으로 진행되는 것이다.

또한 타국과 같이 윤리 문제나 개인정보 법과 같은 것에도 크게 얽매이지 않는다. EU에서는 스마트안경 통해서 사람의 개인정보를 인식하는 AI 기술을, 인권침해로 여겨 금지하였다. 하지만 중국은 이미 스마트안경을 공안의 업무에 도입하였다.

AI를 위한 빅데이터도 굉장히 빠르게 수집하고 모은다. 인구가 14억 명이고, 현금 결제가 거의 없을 정도로 디지털화가 잘 되어있다. 또한 개인정보에 대한 민감성이나 이슈도 크게 없어, 개인정보를 최대한 활용하고 수집한다. 이것들은 소중한 빅데이터가 된다.

이런 기조에 힘입어, 2022년 세계 최초로 중국의 선전시를 자율주행 도시로 지정하였다. ‘완전 자율주행차’의 운행의 조례를 지정한 것이다.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0년 서구의 국가들은, 국민들의 큰 반발을 받아 방역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 때, 중국의 독재 체재가 미래에 경쟁력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있었다. AI 시대를 위해 전 세계가 준비하는 이 때 중국 특유의 정치체재와 공산당의 추진력이 어떤 결과를 만들지 흥미롭게 지켜볼 부분이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