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각에선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25일)과 한미정상회담(26일) 예측
4월 내 발사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도

사진=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의 딸 주애도 함께 참석한 모습이 확인됐다/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제공
사진=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의 딸 주애도 함께 참석한 모습이 확인됐다/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제공

[문화뉴스 장성은 기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군사정찰위성 1호기' 완성을 공식화하면서 발사 시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19일 조선중앙통신에 따르면 김 위원장은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방문한 자리에서 현재 '제작완성된' 위성을 '계획된 시일 안에' 발사하도록 최종 준비 마무리를 지시했다.

북한은 계획된 시일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국가우주개발국은 지난해 12월 "2023년 4월까지 군사정찰위성 1호기 준비를 끝낼 것"이라고 밝혀, 이달 중 위성을 발사하리라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당시에도 정찰위성 1호기 준비 완료 시점을 언급했을 뿐 발사 준비나 발사 시점을 공개하지는 않았다.

전문가들은 날씨나 풍속, 풍향 등 기상 조건이 맞는다면, 이르면 이달 안에라도 발사를 감행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특히 26일(현지시간) 경고메세지 성격을 극대화할 수 있는 한미정상회담을 염두에 둘 수 있다. 

김 위원장은 군사정찰위성 보유가 필요한 이유에 대해 "계단식으로 확장되고있는 미국과 남조선의 군사적 위협과 도전으로부터 국가의 안전환경과 령토완정을 수호하고 인민의 안녕과 발전리익을 고수"하기 위한 것이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은 "조선인민혁명군 창건일(25일)을 군의 성과를 최대화하는 중요한 기념일로 간주한다면 이날을 전후로 치적을 쌓는 의미에서 (위성을) 발사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북한으로서는 양수겸장으로 사실상 한미정상회담에 대응하는 의미도 가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양무진 북한대학원대 총장도 "북한이 정치외교적 효과 최대화를 노린다면 한미정상회담 이전이 아니겠나"라면서 "기상 조건이 맞다는 것을 전제로 23∼24일 정도 발사를 감행해 한미정상회담 테이블에 북한 이슈를 올림으로써 한반도 문제를 주도하는 것은 북한임을 과시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사진=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의 딸 주애도 함께 참석한 모습이 확인됐다/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제공
사진=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지난 18일 국가우주개발국을 현지지도했다고 조선중앙통신이 19일 보도했다. 공개된 사진을 보면 김 위원장의 딸 주애도 함께 참석한 모습이 확인됐다/평양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제공

반면 장영근 한국항공대 교수는 인공위성 무게에 맞는 발사체 준비에 시간이 걸릴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액체연료의 백두산 엔진에 기반한 새로운 인공위성 발사체가 필요해 빨라야 올해 중반이나 하반기쯤에 발사하지 않을까"라며 "만약 인공위성이 작다면 최근 공개한 화성-18형 고체 추진체 기반으로 개발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동엽 북한대학원대 교수도 북한이 이번에는 '최종 준비'를 언급했다면서 "아마도 5∼9월 사이 실제 발사가 이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예측했다.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