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
장강명 동명 소설 원작...고아성, 주종혁, 김우겸 등 출연
현실과 희망 사이 밸런스 탁월...깊은 공감 이끌어

사진=영화 '한국이 싫어서' 스틸
사진=영화 '한국이 싫어서' 스틸

[문화뉴스 부산, 장민수 기자] 영화가 관객에게 어필할 때의 핵심은 깊은 공감을 나누는 것. 영화 '한국이 싫어서'는 새롭지는 않지만 지독히 현실적이면서도 희망 섞인 공감으로 보는 이의 마음을 움직인다.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인 '한국이 싫어서'는 20대 후반의 계나(고아성)가 자신의 행복을 찾아서 어느 날 갑자기 직장과 가족, 남자친구를 뒤로하고 홀로 뉴질랜드로 떠나는 이야기를 그린다. 장강명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장건재 감독이 각본과 연출을 맡았다.

가난한, 혹은 평범한 집안의 첫째 딸 계나. 어렵게 공부해서 대학을 가고, 졸업 후 취업까지 성공했지만 삶은 그가 기대했던 행복과는 거리가 멀다. 매일 왕복 4시간씩 출퇴근을 하고, 억지로 다니는 회사에서는 불공정한 일을 강요하기까지 한다. 그리고 문득, '지금의 행복'을 찾아 뉴질랜드로 떠난다.

사진=영화 '한국이 싫어서' 스틸
사진=영화 '한국이 싫어서' 스틸

영화는 계나의 한국과 뉴질랜드의 삶, 과거와 현재를 오가며 보여준다. 그와 주변인들의 모습을 통해 빈부격차, 불평등, 노동환경, 취업난 등 한국 사회가 직면한 쳥년 문제를 고스란히 담아낸다.

또한 다양한 삶을 사는 여러 인물이 가진 행복에 대한 관점을 풀어 놓으며 관객과 소통한다. 어떻게 살아야 행복할까. 그 정답 없는 논제를 재차 고민하게 만든다.

꿈과 희망이 사라진 이른바 '헬조선'을 묘사하며 비판하는 작품은 수두룩하다. 분명 필요하고 의미 있는 작업이지만, 관객 입장에서는 다소 지겨울 법도. '한국이 싫어서' 역시 그런 측면에서는 딱히 새로울 것 없는 접근이다. 

그럼에도 유사한 소재를 다룬 작품들과 비교했을 때, '한국이 싫어서'가 돋보이는 점이라면 현실과 환상의 경계를 적절히 오간다는 것. 절망적인 상황이 주는 우울감도, 희망 섞인 환상도 극단으로 치닫지 않는다. 그렇기에 관객도 현실적인 수준에서 공감과 위로를 발견하고, 영화가 주는 울림은 한층 크게 작용한다.

사진=영화 '한국이 싫어서' 스틸
사진=영화 '한국이 싫어서' 스틸

연출적으로도 이러한 줄타기를 신경 쓴 느낌이다. 추운 겨울의 한국과 따스한 뉴질랜드의 질감을 대비시켜 표현했지만, 그 단차가 아주 크지는 않다. 고아성, 주종혁, 김우겸 등 배우들의 연기 역시 적절한 유머를 곁들여 정도를 조절한다. 

여기에 메시지에 함몰되지 않고 영화적 재미도 챙겼다는 것이 인상적이다. 계나와 주변인에게 다가오는 일종의 신변의 위협을 적절히 암시, 긴장감을 붙든다. 의미를 벗어나 보더라도 충분히 매력적인 작품이다.

한편 '한국이 싫어서'는 오는 2024년 개봉 예정이다. 지난 4일 개막한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는 오는 13일까지 부산 영화의전당 일원에서 개최된다.

*제28회 부산국제영화제 '한국이 싫어서' 상영 정보

5일 오후 8시 CGV 센텀시티 3관
7일 오전 9시 롯데시네마 센텀시티 3관

문화뉴스 / 장민수 기자 jms@mhns.co.kr

주요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