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반대' 1,798표·'노조 설립' 738표로 노조 결성 시도 무산
아마존 최고경영자 제프 베이조스, 미국 내 무노조 경영 계속 이어갈 듯

[문화뉴스 김선기 기자] 세계 최대 규모의 전자상거래 업체 아마존의 창고 직원들이 추진한 노동조합 결성 시도가 찬반투표 끝에 무산됐다.
9일(현지시간) CNN 방송과 일간 워싱턴포스트(WP)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앨라배마주 베서머의 아마존 창고 직원들이 실시한 노조 결성 찬반 투표 결과 직원들이 노조 결성을 반대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매·도매·백화점노동자조합(RWDSU) 가입 여부를 묻는 이번 투표에서 과반의 득표를 얻은 쪽이 이기는데 노조 결성에 반대하는 표가 과반수를 넘는 1천798표, 찬성은 738표에 그쳤다.
대략 6천명에 달하는 현지 직원들에게 투표 자격이 부여된 가운데 총 투표 수는 3천215표였다. 약 500표는 사측이나 노동자 측이 이의를 제기해 집계에 포함되지 않았다.
WP는 이번 투표 결과가 베서머 창고가 미국의 첫 노조 사업장이 되는 것을 저지하려 대대적인 전투를 벌여온 아마존에 중대한 승리라고 평가했다.
아마존 미국 직원들의 노조 결성 시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한 안전 예방조치에 대한 불만, 전반적인 근무 환경에 대한 불만 등이 주요 원인이 됐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는 아마존을 창업한 뒤 25년 이상 미국 내 사업장에서 무노조 경영 원칙을 고수해왔다.
아마존은 이번 노조 결성 시도에도 이에 반대하는 온·오프라인 캠페인을 벌였다. 화장실 문마다 전단을 붙이고 문자 메시지를 발송하는 한편 직원들을 의무적으로 반(反)노조 회의에 참석하도록 했다.
CNN은 이번 노조 조직화 시도에 대해 처음부터 힘겨운 전투였다고 평가했다. 미국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고용주인 아마존을 상대로 한 도전인 데다 다른 지역보다 노조 조직률이 더 낮은 남부였기 때문이다.
RWDSU와 노조 결성을 추진한 쪽은 이번 투표 과정에서 사측이 거짓말과 속임수, 불법적 활동을 벌였다며 이를 미 노동관계위원회(NLRB)에 고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노동계는 의무적 회의 참석 및 문자 메시지 등 노조 결성을 막기 위한 아마존의 행위에 대해 의회가 조사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나서 당분간 여파가 지속될 전망이다.
[출처=연합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