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유산청, 97톤급 최첨단 수중유산 발굴 바지선 전남 목포서 첫 출항식 개최

수중유산 발굴 전용 바지선 ‘바다누리호’ 전경.
수중유산 발굴 전용 바지선 ‘바다누리호’ 전경.

(문화뉴스 이동구 기자) 국립해양유산연구소가 자체 개발한 수중유산 발굴 전용 바지선 ‘바다누리호’가 24일 전남 목포에서 취항식을 갖고 본격적인 운항에 들어간다.

수중문화유산 보호와 조사 역량 강화를 위해 설계부터 제작까지 국립해양유산연구소가 주도한 수중발굴 전용 바지선 ‘바다누리호’가 2024년 7월 24일 오후 3시 전라남도 목포시 국립해양유산연구소 앞 계류장에서 취항식을 갖고 공식 운항에 돌입한다. 

국가유산청 산하 국립해양유산연구소(소장 이은석)는 바다누리호가 잠수통제실, 공기압축기실, 잭업 통제실, 잠수사 승강기, 크레인 등 수중 조사에 필요한 장비를 두루 갖춘 첨단 바지선이라고 밝혔다. 바다누리호는 총톤수 97톤급으로 길이 19.2m, 너비 18m, 높이 2.3m 규모이며, 최대 10명의 조사원이 장기간 체류하며 수중 유산 발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선체 네 모서리에 설치된 길이 32m, 직경 90㎝의 잭업 고정 다리는 해저에 단단히 고정돼 파도 영향을 최소화하며, 유압 승강장치를 이용해 안정적인 수중 작업을 가능하게 한다. 이 선박은 최대 4명의 잠수조사원이 동시에 수중에 진입할 수 있고, 실시간 영상 점검과 통신이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어 발굴의 정확도와 안전성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잠수사 승강기는 조류나 유속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아 고난도 조사에서도 잠수사의 하잠과 상승을 보다 안전하게 지원한다. 국립해양유산연구소는 바다누리호를 활용해 하반기부터 태안 마도 해역, 진도 해역, 고흥 해역 등 전국 주요 수중유산 조사 현장에 투입하여 효율적인 발굴과 문화재 보호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이은석 소장은 “바다누리호는 수중유산 보호와 조사에서 큰 전환점을 마련하게 될 것”이라며 “해양문화유산을 보다 적극적으로 조사·발굴하고 국민에게 그 가치를 알리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사진=국립해양유산연구소

문화뉴스 / 이동구 기자 pcs81914@naver.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