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는 9월 29일부터 중국 단체관광객 무비자 입국 허용 결정
국제회의 외국인 참가자 대상 패스트트랙 기준 완화해 입국 편의 제고
의료관광 우수기관 지정 기준에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 추가해 제도 개선

명동 찾은 관광객들/사진=연합뉴스
명동 찾은 관광객들/사진=연합뉴스

(문화뉴스 이건희 기자) 정부가 중국 단체 관광객에 대해 한시적으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다.

6일 정부는 김민석 국무총리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광 활성화 미니정책TF’ 회의를 열고, 오는 9월 29일부터 2026년 6월 30일까지 중국 단체 관광객을 대상으로 무비자 입국을 허용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번 조치는 작년 11월 중국이 한국 국민에게 무비자 입국을 허용한 데 대한 상호 조치의 일환으로, 그간 관계 부처 간 협의를 통해 추진되어 왔다.

정부는 "방한 관광시장이 빠르게 회복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이번 무비자 정책이 시행되면 추가 방한 수요를 유발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 등 실질적인 내수 진작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서는 외국인 관광객 유치를 위한 규제 합리화 방안도 함께 논의되었다. 특히, 국제회의(MICE) 참가 외국인의 입국 편의 증진을 위한 우대심사대(패스트트랙) 제도의 확대 방안이 포함되었다.

현재 시범 운영 중인 입국심사 간소화 제도의 적용 대상을 기존 500명 이상에서 300명 이상으로 완화할 예정이며, 향후 이를 정식 제도로 제도화할 계획이다.

또한 의료관광 분야에 있어, 정부는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이 있는 기관을 의료관광 우수 유치기관으로 지정해 혜택을 부여할 방침이다.

기존에는 진료 실적이나 비자 발급 실적을 기준으로 삼았으나, 앞으로는 외국인 환자 유치 실적(무비자 국가 포함)이 500건 이상인 경우에도 우수 유치기관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기준을 개선할 예정이다.

문화뉴스 / 이건희 기자 press@mhns.co.kr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