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자문회의 통해 대화기구 실질화 논의
국민 참여형 공감·합의형성 프로세스 강조
갈등 해소 아닌 균형 관리·대화 설계자로 역할 전환

(문화뉴스 주진노 기자) 국민통합위원회가 사회적 대화기구로의 전환을 본격화하고 있다.
17일, 대통령직속 국민통합위원회는 통합위 소회의실에서 전문가 자문회의를 열고 사회적 대화기구로서의 역할 정립 및 기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이번 회의는 이재명정부의 123대 국정과제 중 ‘통합과 참여의 정치 실현’(9번 과제)에 포함된 ‘사회갈등의 구조적 원인과 해결책을 찾는 대화기구’로서 국민통합위원회가 실질화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이석연 위원장은 취임 직후부터 “국민통합은 각자가 지닌 다름과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공존과 번영을 위해 함께 가는 것”이라며 “갈등 현장과 소외된 그늘에서 울려 나오는 생생한 목소리를 경청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날 회의에는 이강원 한국사회갈등해소센터 소장, 최호진 한국행정연구원 선임연구위원, 채종헌 한국행정연구원 공공갈등관리센터 소장, 조성훈 한국갈등해결센터 사무국장이 참석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논의에서 국민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다층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체계 마련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정부 주도의 선호선택형 공론화가 아닌, 국민 참여형 온·오프라인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 공감형 대화 프로세스를 마련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지속적인 토의와 숙의를 통해 국민들의 이해와 신뢰를 높이려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또한 통합위가 갈등 해결자가 아닌, 갈등을 균형 있게 관리하고 대화의 장을 설계하는 기구로 자리 잡아야 한다는 제언도 나왔다. 이들은 단순한 문제 해결이 아닌, 사회적 합의를 이끌어낼 수 있는 구조와 절차에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통합위는 향후 정치, 지역, 양극화, 세대, 젠더 등 5대 사회갈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국민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지속적인 대화를 통해 국민적 신뢰와 공감대를 형성해 나갈 계획이다.
문화뉴스 / 주진노 기자 eveleva@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