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아시스 도시·바자르·유르트, 입체적 실크로드 구성
우즈베키스탄·키르기스 등 협력, 문화유산 실물 전시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뉴스 주진노 기자) 중앙아시아 실크로드의 교류와 유산이 아시아문화박물관을 통해 입체적으로 조명된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은 개관 10주년을 맞아 상설전시 ‘길 위의 노마드’를 25일부터 아시아문화박물관 중앙아시아실에서 선보인다.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이번 전시는 ‘실크로드는 하나의 길이 아니다’는 관점 아래, 유목민과 상인, 카라반 등의 이동과 교류 흔적을 중심으로 중앙아시아 실크로드의 문화와 역사적 맥락을 재조명한다. 지난해 동남아시아실 ‘몬순으로 열린 세계’ 리뉴얼에 이은 두 번째 상설전시로, 해상에 이어 육로 실크로드의 흐름을 구체화했다.

전체 전시는 총 3개 파트로 구성된다. 1부 ‘카라반의 숨결이 쉬어간 자리’에서는 오아시스 도시와 쉼터, 무역상들이 머문 공간을 구현하고, 2부 ‘교역이 꽃피는 곳, 바자르’에서는 도자기, 직물, 악기, 카펫, 목공예품 등 교류를 통해 형성된 생활 예술 문화를 보여준다. 3부 ‘초원, 자연과 조율하는 삶’에서는 유목민의 주거 공간인 유르트와 유목 문화 전반을 통해 자연과 공존하는 삶의 방식을 소개한다.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관람객은 카라반사라이, 바자르 시장 골목, 초원의 유르트 등 실물 전시와 함께 무역과 여행의 흔적이 남은 공간을 생생하게 체험할 수 있다. 마구와 말갖춤, 전통 공예품, 현지 영상 아카이브 등도 함께 공개된다.

이번 전시는 몽골, 우즈베키스탄, 키르기스공화국, 투르크메니스탄 등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공동 협력으로 마련됐다. 현지 문화부 및 유관기관이 소장품 기증과 영상 촬영, 예술가 교류 등 다방면으로 참여해 전시 기획에 기여했다.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실크로드가 걸어온 길…카라반·바자르·유르트 ACC에 펼쳐지다 /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전시에서는 중앙아시아의 마구와 직물, 금속 및 목공예품, 수자니, 벨벳, 도자기 등 실크로드를 따라 순환한 다양한 문화유산이 소개되며, 오아시스 도시의 바자르와 카라반사라이, 도시와 초원의 음악 등 예술 세계도 함께 다룬다.

김상욱 국립아시아문화전당장은 “이번 전시는 중앙아시아 초원과 오아시스 도시의 예술과 생활문화를 입체적으로 보여줄 뿐 아니라, 이동과 교류에서 탄생한 실크로드의 유산을 오늘날 시각으로 새롭게 해석한 자리”라고 밝히며 문화 다양성의 지속적 확산을 언급했다.

사진=국립아시아문화전당

문화뉴스 / 주진노 기자 eveleva@naver.com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