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생 줄어도 학교 지켜내는 길, ‘주교복합캠퍼스’가 답이다
(문화뉴스 이동구 기자) 지방소멸과 교육 소멸의 위기를 동시에 풀기 위해선 학교와 주거를 결합한 ‘주교복합캠퍼스’ 모델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학생 수 급감으로 한계학교가 속출하는 전남 농산어촌 지역에서 교육과 주거를 결합한 ‘주교복합캠퍼스’가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 백도현 여수교육장은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만이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담보할 수 있다”며 발상의 전환을 촉구했다.
전국적으로 학생 수보다 교직원 수가 더 많은 이른바 한계학교가 392곳에 이르고, 전남만 해도 52곳으로 전체의 6%에 달한다. 복식수업과 상치교사 문제가 더 이상 일부 농산어촌만의 이야기가 아니며, 학생들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접근과 발상의 전환이 절실하다.
그동안 지역 소멸 대응책은 산업단지 유치나 정주 지원금 등 성인 중심의 정책에 머물렀다. 하지만 젊은 세대의 이탈을 막기 위해서는 교육 인프라를 전면에 둔 주거 정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크다. 교육이 살아야 지역이 산다는 논리다.
서울시교육청이 추진 중인 ‘주교복합캠퍼스’는 학생 수 급감과 과밀이라는 이중 과제를 동시에 풀어내는 현실적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일본 도쿄에서도 이미 시행된 이 모델은 기존 학교 부지 일부를 분할해 공동주택을 건설하거나, 민간 개발업체가 건물 내 학교를 신축해 기부채납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폐교 위기에 놓인 학교는 활력을 되찾고, 재개발 지역의 과밀학급 문제도 완화할 수 있다. 주거와 교육을 동시에 해결하는 셈이다.
이 모델은 여수만의 문제가 아니라 광주 인근 장성, 담양 등 도시 근교 지역에도 유효하다. 대도시와 생활권을 공유하면서도 인구 유입은 제한적이고 교육 인프라는 약화되는 이중 압력을 받고 있는 지역에서 주교복합형 공동주거 공간은 부모의 출퇴근 편의와 자녀의 안정적 학습권을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다. 나아가 원도심 공동화와 교육 소멸을 막아 지역 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결국 주교복합캠퍼스는 단순한 건축 프로젝트가 아니라 교육권 보장, 주거비 완화, 지역 활성화를 함께 겨냥한 종합정책이다. 더 이상 비용 대비 효율만 따질 문제가 아니라 아이들의 학습권, 학부모의 생활권, 지역의 지속가능성을 연결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지방정책의 핵심 과제로 떠오른다.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아이 키우기 좋은 도시”라는 구호는 단순한 선거 슬로건이 아닌 정책적 선택이 돼야 한다. 교육과 주거를 결합한 창의적 대안이야말로 지방소멸을 막는 가장 확실한 방법임을 직시해야 한다.
문화뉴스 / 이동구 기자 pcs8191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