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전시·토크쇼까지…80년 발자취와 청년세대 함께하는 다채로운 행사
T1 선수단이 선정한 애독서 전시…한국 독서문화 흐름 한눈에

국립중앙도서관, 80년 지식의 여정…문화·역사·기술 아우른다 / 사진=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80년 지식의 여정…문화·역사·기술 아우른다 / 사진=국립중앙도서관

(문화뉴스 김지수 기자) 국립중앙도서관이 개관 80주년을 맞아 오는 15일 일대에서 기념행사와 특별전시를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오는 15일 서울 서초구 도서관 일대에서 진행된다. 행사 당일 오후 12시부터 열리는 ‘도서관 음악회’에서는 클래식, 재즈, 국악, 뮤지컬 등 다양한 장르의 무대가 펼쳐진다. 첼리스트 홍진호, 반도네오니스트 고상지, 피아니스트 최문석, 뮤지컬 배우 윤지인과 박유겸, 국악아카펠라 그룹 토리스, 에티카 앙상블이 참여하며, 무대 진행은 박혜진 아나운서가 맡는다. 올해는 미니 토크쇼와 낭독 무대가 더해져 깊은 울림을 전할 예정이다.

오후 2시부터는 도서관 국제회의장에서 공식 기념식이 열린다. 김희섭 국립중앙도서관장의 인사를 시작으로 정부 및 도서관계 주요 인사들의 축사, 영국·일본·중국 등 12개국 해외 국립도서관장과 사서들의 축하 영상 상영, 도서관 발전 유공자 포상 등이 이어진다. 또한, 80주년 기념 슬로건을 활용한 캘리그라피 공연도 마련된다. 이번 기념식은 인공지능 시대 속에서 도서관의 역할과 비전을 성찰하는 시간으로 준비됐다.

같은 날부터 오는 12월 14일까지 본관 1층 전시실에서는 ‘나의 꿈, 우리의 기록, 한국인의 책장’ 특별전도 개최된다. 이번 전시는 국립중앙도서관이 소장한 200여 종의 국보·초판본, 조선시대 왕실 서적, 해방과 전쟁, 산업화, 민주화 시기의 역사 자료와 함께 MZ세대와 한류 팬들의 컬렉션에 이르기까지 총 23개 테마 ‘책장’을 구성해 한국 독서문화의 변천사를 조망한다.

‘지식과 미래, 문화의 향연’…국립중앙도서관 80주년 대축제 열린다 / 사진=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80년 지식의 여정…문화·역사·기술 아우른다 / 사진=국립중앙도서관

전시 개막일에는 '동의보감(국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석보상절',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의 원본이 공개된다. 전시 기간 중에는 '소년', '청춘', '별건곤' 등 창간호와 '윤동주 시집', '백범일지' 등 근대자료의 초판본도 함께 전시된다.

이번 전시에는 세계적 e스포츠팀 T1 선수단이 추천한 애독서를 모은 특별 책장이 마련돼 청년 세대의 감성과 통찰을 공유하며, T1 팀의 굿즈도 전시돼 게임 중심 콘텐츠의 문화적 확장 가능성도 살펴볼 수 있다.

1945년 개관한 국립중앙도서관은 약 1,500만 권의 장서와 2,000여만 건의 온라인 자료를 보유하며, 2006년 국립어린이청소년도서관, 2009년 디지털도서관, 2013년 국립세종도서관 개관을 통해 역할을 넓혀 왔다. 2028년에는 강원도 평창에 국가문헌보존관이 들어설 예정이다. 현재 도서관은 디지털·인공지능 기술 변화에 발맞춰 새로운 지식 플랫폼으로 도약을 준비하고 있다.

김희섭 국립중앙도서관장은 “국립중앙도서관의 80년은 한 시대의 정신과 국민의 꿈이 담긴 역사”라며, “80주년이 새로운 지식의 길을 여는 출발점이 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사진=국립중앙도서관

문화뉴스 / 김지수 기자 press@mhns.co.kr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