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화뉴스] 흔히 미술품은 종이나 캔버스, 혹은 청동이나 석고, 나무 등으로 만든다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버려진 폐기물로도 예술품을 만드는 경우가 있다. 이를 일컬어 '정크 아트'라고 한다. 
 
정크 아트는 1950년대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한 현대 미술의 한 흐름이다. 산업화로 환경 오염이 가속화되면서 급속하게 양이 증가한 폐기물을 소재로 활용해 예술품을 창조하고, 환경 문제와 지구의 지속 가능성을 환기한다. 
 
현대 미술에서 주로 등장하던 정크 아트는 실제 생활에도 접목되고 있다. 생활 속 쓰레기를 재활용해 각종 생활 용품을 만들어내는 경우가 심심치 않은 것. 
 
환경 문제가 심각해지고 다양한 재활용 사례가 등장하면서 피스플래닛의 씨글라스 활용 상품이 눈길을 끌고 있다. 씨글라스는 해변에 버려진 지 오래된 유리 폐기물로 파도에 가장자리가 둥글게 마모되고 표면이 닳은 유리 조각이다. 마모되고 닳았을지라도 유리 특유의 광채와 투명함이 살아 있어 '바다에서 만나는 색다른 매력'으로 불린다. 
 
피스플래닛은 씨글라스를 주 재료로 삼아 자체 캐릭터 '바다친구 잇슈'를 개발해 환경친화적 아트 상품을 본격적으로 출시했다. '지구가 준 두 번째 기회'로 정의된 씨글라스를 소재로 '인간과 자연이 신선하고 재미있는 일상 속에서 평화로운 마음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바다친구 잇슈'가 등장하는 브랜드 스토리와 미션 하에 제품을 선보인다. 
 
해당 브랜드는 20대부터 30대까지 젊은 직장인과 학생을 주요 소비층으로 설정해 씨글라스의 유니크한 특성을 강조한다. 독특한 디자인에 관심이 많은 소비자를 위해 배지나 파우치, 마그네틱 등을 제작해 디자인 시장에 선보인 뒤 자연친화적 브랜드와도 협업할 계획이다. 
 
피스플래닛 김진주 대표는 "서양의 경우 씨글라스를 단추나 목걸이, 타일 등 공예품의 재료로 자주 활용한다"며 "환경 문제의 심각성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는 요즘, 폐기물을 귀여운 캐릭터 상품으로 재창조한다면 유니크한 개성은 물론 환경 문제 해결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김 대표는 "특히 우리나라는 지리적 특성상 씨글라스를 친숙하게 접할 기회가 많다"며 "쓸모 없이 버려졌다가 자연의 흐름 속에서 새롭게 태어난 씨글라스 제품은 브랜드 가치의 의미를 중시하는 소비자에게 깊은 인상을 줄 것이라 예상한다"고 말했다.
 
문화뉴스 이우람 기자 pd@mhns.co.kr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