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서울시 제공

[MHN 문화뉴스 최윤정 기자] 서울 시민의 생활시간은 코로나 19 전후로 어떻게 변화했을까? 서울시가 2019월 11월과 2020년 11월, 만 18세~만 69세 서울시민 1000명의 평일 하루 생활시간을 조사·비교하여 그 분석 결과를 발표하였다.

생활시간은 잠·식사 등 개인유지를 위해 필요한 시간인 '필수시간'과, 일·학습·가사노동·이동 등 해야 하는 의무가 부여된 시간인 '의무시간', 개인이 자유롭게 사용이 가능한 시간인 '여가시간'으로 나뉜다.

분석 결과, 코로나 19 기간인 2020년 동안 서울시민의 필수시간은 9시간 26분(3분 감소), 의무시간은 9시간 2분(15분 감소), 여가시간은 5시간 32분(18분 증가)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활시간에 많은 변화가 발생한 계층으로는, 일하는 시간과 이동시간이 감소하고 수면시간이 증가한 18~29세, 40~49세, 비취업자 계층, 가사노동시간과 미디어 이용 시간이 증가한 자영업자 계층, 가사노동시간이 증가하고 교제·참여와 개인 유지시간이 감소한 배우자가 있는 비취업자 여성 계층이다.

필수시간

서울 시민의 필수시간은 수면시간 9분 증가에도 불구하고, 개인 건강관리, 개인위생 및 외모 관리 등 개인 유지 시간이 12분 감소되어 평균 3분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면시간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모든 계층에서 증가하였다. 연령별로는 18세~29세가 19분, 취업 여부로는 비취업자가 15분으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다. 개인 유지 시간은 모든 계층에서 평균 12분 감소하였는데 특히 여성, 자영업자, 배우자가 있는 여성 중 비취업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였다.

의무시간

서울 시민의 의무시간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으로 집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 가사노동과 학습시간은 증가되었으나, 일하는 시간과 이동시간이 감소되어 전체적으로 15분 감소하였다.

가사노동시간은 평균 4분 증가하였는데, 60~69세의 연령대와 배우자가 있는 여성취업자를 제외한 대부분의 계층에서 증가하였다. 임금근로자 가사노동시간은 소폭(1분) 증가된 반면, 자영업자는 20분이나 증가하여 코로나19로 생활시간의 변화가 많은 계층으로 파악되었고, 배우자가 있는 비취업 여성은 취업 여성보다 30분 정도 더 많이 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하는 시간과 이동시간은 모든 계층에서 감소하였는데, 18~29세의 연령층에서는 가장 많은 감소 결과를 나타내어 일하는 시간과 이동시간의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었다.

여가시간

서울시민의 여가시간은 평균 19분 증가하였다. 실내활동 위주의 시간이 증가했는데, 미디어 이용시간은 18~19세와 60~69세 연령층에서, 온라인·모바일 게임시간은 40~49세의 연령층에서 이용시간이 두드러지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실외활동시간은 감소했는데, 문화·관광 시간과 교제·참여 시간은 모든 계층에서 감소하였으며, 특히 배우자가 있는 여성 중 비취업자, 자영업자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감소하였다. 그리고 스포츠·레포츠 이용 시간도 모든 연령층에서 평균 4분 감소하였다.

비대면 대체 행동 조사 결과
사진=서울시 제공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에는 2019년에 비해 비대면(온라인) 실내 활동 위주의 행동이 증가하였는데, 가장 많이 대체된 행동은 넷플렉스, 유튜브 등의 미디어 이용(50.0%), 온라인 공연 관람 등의 문화 및 관광 활동(48.5%), 온라인PC/모바일 게임(32.7%), 화상회의, 온라인 예배 등 교제 및 참여활동(30.0%) 순이었다.

사진=서울시 제공

아울러, 코로나19로 인해 가장 힘들었던 점은 감염 불안감과 마스크 착용, 모임자제 등의 생활수칙 준수였으나, 미디어 시청 및 동네 산책 등과 같은 즐거움을 새롭게 발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코로나19 전후의 생활시간 변화 파악을 통해 서울시민들의 사회적 거리두기 적극적인 참여를 확인할 수 있었다"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여 서울 시민의 행복한 삶을 위해 일과 생활이 균형을 이룰 수 있는 정책을 수립할 기초자료로 활용하겠다"라고 밝혔다.

주요기사
관련기사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