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금요일 오후 10시 50분 KBS 1TV

[문화뉴스 장연서 기자] 문화재청(청장 김현모)은 경복궁 복원 30년을 맞아 경복궁의 역사와 복원 의의를 조명하는 다큐멘터리 '조선의 첫 궁궐, 경복궁 다시 서다'를 6월 4일 금요일 오후 10시 50분에 한국방송공사(KBS) 1TV '다큐 On(온)'에서 방영한다.
이번 방송은 경복궁의 창건(태조 4년, 1395년)에서부터 고종 대의 중건(고종 5년, 1868년) 역사,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경복궁의 위상을 회복하기 위해 지난 1991년부터 추진해 온 경복궁 복원정비 사업 30년의 기록을 담고 있다.
조선의 첫 궁궐이자 법궁으로, 조선을 상징했던 경복궁은 일제의 치밀한 계획 아래 철저히 훼손되었고, 한국전쟁 이후에도 중앙청과 박물관, 군부대가 들어서는 등 수난의 역사는 한동안 계속되었다.
1991년부터 시작된 경복궁 복원정비 사업은 단순히 일제강점기에 헐려 사라진 전각을 채워 넣는 작업이 아니라 조선의 법궁으로서 경복궁의 위상을 되찾기 위해 일제의 잔재를 없애고 변형 훼손된 부분을 바로 세우는 과정이었다. 2010년 제 자리에 제 모습으로 바로 선 광화문 복원 과정과 함께 최고의 장인들이 옛 기법 그대로 돌과 나무를 다듬어 완성하는 경복궁 전각 복원 전 과정을 통해 경복궁 복원의 의의를 되짚어 본다.
더 이상 왕이 거처하지 않는 경복궁은 이제 왕의 공간이 아닌 모두가 함께 누리는 역사 문화 공간으로 변신을 꾀하고 있고, 이를 위한 복원정비 사업은 2045년까지 계속된다.
본 방송에서는 국내에 1권밖에 없었던 경복궁 건축 기록서 '경복궁 영건 일기'가 일본 와세다대학 도서관에서 9권의 완본(초고로 추정)으로 발견되면서 광화문 현판의 색깔 논란에 종지부를 찍게 된 사연도 소개한다. 단순히 건물과 지형 복원을 넘어 오늘, 그리고 미래에 우리가 지켜나가야 할 경복궁의 가치가 무엇인지 고민해 보는 시간이 되기를 기대한다.
- 국립고궁박물관, 왕실 의례에 쓰이는 ‘궁중장식화’ 강좌 온라인 생중계
- 국립극장 달오름극장 완창판소리 6월 공연, ‘정회석의 심청가-강산제’
- [문화재청소식] 무형 유산 정보 교류와 활용의 장 온라인 설명회 개최
- [문화재청소식] 무형문화재 전승자들이 던진 '출사표'
- '런닝맨'에서 '대감'이 된 유재석과 일곱 머슴들?
- '1박 2일'에서 마피아 게임을? 멤버들의 속고 속이는 심리전
- 창경궁 ‘고궁의 숲, 무용을 만나다’개최
- 서울역사박물관, PC‧모바일로 원격조종해 전시관람 '텔레프레즌스 로봇' 최초도입
- [공모] 울산항만공사, 독서독후감대회 후보도서 공모전 실시
- [공연] 덕수궁에서 현의 선율로 전하는 위로와 희망 ‘석조전 음악회’
- 찾아가는 창덕궁 달빛기행, '궁, 바퀴를 달다' 개최
- [공모전] 서울시건축사회, 2021년 ‘서울, 건축산책’ 공모전 실시
- '다큐온' 취업 전쟁 속 고군분투하는 MZ세대.."대학생인데요, 직장인입니다"
- KBS 1TV '다큐온', 명천스님의 빛나는 여름···"하루 세 번 웃으면 족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