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EU·캐나다 철강 보호무역조치 점검…산업부, 업계와 공동 대응책 강화
철강 무역장벽 완화 협의·맞춤형 금융지원까지…“피해 최소화 총력”

‘글로벌 철강장벽’…산업부, 미국·EU·캐나다 관세에 “적극 대응 나선다”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글로벌 철강장벽’…산업부, 미국·EU·캐나다 관세에 “적극 대응 나선다” /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이혜주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철강 분야 보호무역조치에 대응하기 위해 민관 합동 점검회의를 열었다.

10일 서울 철강협회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번 회의는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 주재로 진행됐으며, 미국의 232조 관세(50%), EU 및 캐나다의 TRQ(할당관세) 등 최근 발표된 조치가 국내 철강업계에 미치는 영향을 집중 점검했다.

여한구 본부장은 "전 세계적으로 철강 분야에서 보호무역주의가 더욱 세지고 있다"라며 정부와 업계가 긴밀히 협력해 부정적 영향을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미국, EU, 캐나다 등 주요국의 무역장벽에 대해 적극 대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산업부와 업계는 미국과의 협의 채널을 가동해 철강, 알루미늄, 파생상품에 대한 관세 부담을 줄이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EU의 TRQ 조치에는 한-EU FTA를 포함한 다양한 공식·비공식 양자 채널을 통해 실무 협의부터 고위급 회담까지 이어갈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EU 상품무역이행위원회, 한-EU 통상장관회의 등 회의체를 활용해 양국에 이익이 되는 해결책을 추진한다. 캐나다 측에는 상품무역위원회를 통해 우리 정부의 우려를 전달하고, TRQ 조치 철회 및 국내 산업 피해 최소화를 요청할 방침이다.

정부는 지난 4일 발표한 ‘철강산업 고도화 방안’에 따라 불공정 수입행위 규제, 피해 기업 대상 금융 지원 확대, 컨설팅 제공, 철강 산업 경쟁력 강화 등 후속 조치도 병행한다.

산업부는 앞으로도 미국, EU, 캐나다 등 주요국의 무역조치 동향을 면밀히 파악하고, 현장 의견을 적극 반영해 대응할 방침이다.

 

사진=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문화뉴스 / 이혜주 기자 press@mhns.co.kr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