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투자 기반 경정장 유치 추진… 워터파크·리조트 결합, 청년 일자리 창출 및 체류형 K-관광 클러스터 구축 승부수

(문화뉴스 이동구 기자) 인구 절벽 위기, '청년 일자리'에서 돌파구를 찾다
전남 곡성군이 심각한 인구소멸 위기를 정면 돌파하기 위해 수상레포츠 관광단지 조성과 경정장 유치라는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18일 곡성군에 따르면, 현재 곡성군은 인구감소지수 전국 5위에 달하며, 고령인구 비율이 41.4%에 이르는 초고령 지역이다. 젊은 인구의 지속적인 유출로 지역 활력이 급격히 저하되는 현실 속에서, 군은 청년들이 실제 일자리를 이유로 지역에 머무르는 구조를 만드는 데 정책의 방점을 찍었다.
이러한 전략은 정부가 최근 소멸 위기 지역 재도약을 지원하고, 문화체육관광부가 지역 관광을 통한 성장 모델을 강조하는 K-관광 혁신팀을 출범시키는 등 국가 정책 방향과도 일치해 주목받는다.
곡성군이 제시한 해법은 단순히 경정장을 건립하는 것을 넘어선 체류형 복합 관광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것이다.
곡성 수상레포츠 관광단지는 경정장을 핵심 시설로, 여기에 워터파크, 리조트, 래프팅파크 등을 복합 조성하는 방식으로 설계됐다. 이를 통해 관광, 레저, 문화, 숙박, 체험 기능을 한곳에 모아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단지를 목표로 한다.
특히 젊은 세대가 선호하는 레저 및 관광 산업 분야의 일자리를 직접·간접적으로 창출하여 청년 인구의 유출을 막고 귀향 및 이주를 촉진하는 핵심 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워터파크·리조트·래프팅파크를 연계하여 젊은 층의 관광 수요를 끌어올리고, 관광객 유치, 시행 수익, 지방재정 확충으로 이어지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지역 전체의 체질을 변화시키는 장기 지속형 효과를 노린다.
호남권 대표 'K-관광 혁신 모델'로의 도약
곡성군은 이 수상레포츠 관광단지를 호남권 대표 K-관광 랜드마크로 만들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과거 경상북도 영천경마공원이 침체된 지역경제를 되살리고 관광 인프라 확충의 촉매제가 된 것처럼, 곡성에서도 유사한 파급효과를 기대한다.
곡성 경정장은 경주가 없는 날에도 주민과 관광객에게 상시 개방되는 사회 환원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설계된다. 이는 단순 사행산업 시설이라는 인식을 넘어, 레저·문화 기반의 공공성 있는 관광 혁신 모델을 제시하겠다는 곡성군의 의지이다. 문체부의 K-관광 혁신 모델 확대 기조 속에서 호남형 K-관광의 대표 사례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다.
수상레포츠 관광단지 조성은 국토균형발전과 소멸위기 지역 재도약이라는 국가 정책 목표와도 높은 정합성을 보인다. 경정장과 연관 시설이 결합하면 지역경제 활성화는 물론, 선수 및 관련 종사자의 안정적인 일자리 창출에도 크게 기여할 전망이다.
조상래 곡성군수는 "수상레포츠관광단지는 단순한 시설 건립을 넘어 지역 자원을 활용한 사회 복합 환원 공간으로써 지역 소멸 위기 극복과 고부가가치 관광산업을 창출하는 지속 가능한 지역 관광 활성화의 성공 모델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곡성군은 경주시행 허가가 조속히 이뤄지는 즉시 민간투자 유치를 본 궤도에 올려 ‘청년이 돌아오는 활기찬 곡성’으로 바꾸는 데 총력을 다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은 지방이 스스로 성장동력을 확보하고 인구 절벽을 넘어서는 재도약의 새 장을 여는 희망의 메시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화뉴스 / 이동구 기자 pcs81914@naver.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