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능, 드라마, 게임 등 디지털 콘텐츠 소비 증가 두드러져
드라마는 '사랑의 불시착', 가수는 '방탄소년단(BTS)' 가장 선호

[ 문화뉴스 경민경 기자] 코로나19 위기 속에도 드라마, 예능, 게임 등의 한류 콘텐츠의 소비 비중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는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과 함께 전 세계 한류 콘텐츠 소비 현황과 확산 수준을 정기적으로 조사하는 ‘2021년 해외 한류 실태조사'를 28일 발표했다.

선호 한국 드라마/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선호 한국 가수(그룹)/사진=문화체육과광부 제공

코로나19 이후 예능・드라마・게임 등 소비 비중 증가

조사 결과 한류 소비자들의 분야별 소비 비중은 드라마(29.7%), 미용(뷰티, 27.5%), 예능(26.9%), 패션(24.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비교해 소비가 증가했다고 응답한 한류 콘텐츠 분야는 예능(48.0%), 드라마(47.9%), 게임(45.8%) 등의 순이었다. 코로나19로 물리적 이동이 어려워지면서 영상・게임 등 디지털 콘텐츠들의 소비 비중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류 소비자들의 선호가 높은 분야별 콘텐츠는 드라마에서는 '사랑의 불시착'(9.5%), '사이코지만 괜찮아'(4.1%), '부부의 세계'(2.8%) 순이었고, 영화에서는 '기생충'(18.4%), '부산행'(10.2%), '반도'(3.5%) 순으로 나타났다. 한국가수/그룹에서는 방탄소년단(22.0%), 블랙핑크(13.5%), 싸이(2.9%) 순으로 응답 비율이 높았다.

한국 문화콘텐츠 접촉 경로/사진=문화체육관광부 제공

온라인・모바일 플랫폼, 누리소통망(SNS) 등을 통해 한류 콘텐츠 소비

한류 콘텐츠를 접하는 경로는 최근 5년간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이 가장 높았다. 

텔레비전 등 방송매체에서 온라인/모바일 플랫폼으로 주된 콘텐츠 소비 방법이 변화함에 따라, 유력 플랫폼과 연계해 해외 소비자 개인의 소비유형과 세분화된 취향을 만족시킬 수 있는 콘텐츠를 제작하는 것이 지속적인 한류 확산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번역 등 언어 접근성 문제가 주된 호감 저해 요인

한류 콘텐츠의 호감도 저해 요인으로 드라마, 예능, 영화, 음악, 애니메이션, 출판 분야 모두 ‘번역·자막·더빙 등 시청 불편’, ‘어렵고 생소한 한국어’, ‘자국어 번역 미흡’ 등 언어적 문제가 1~2위를 차지했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한류 소비자들이 한국어를 한류 콘텐츠의 대표적 상징이자 독자적인 개성으로 인식하는 점 또한 고려해야 한다고 보았다.

한편, 문체부는 한류 소비자가 겪는 언어적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번역, 더빙 등을 지원하는 사업 규모를 작년 29억 원에서 올해는 약 40억 원으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

코로나19 위기 속, 한류 콘텐츠 소비는 증가

예능, 드라마, 게임 등 디지털 콘텐츠 소비 증가 두드러져
드라마는 '사랑의 불시착', 가수는 '방탄소년단(BTS)' 가장 선호

저작권자 © 문화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