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뉴스 정혜민 기자] 아라리오갤러리 서울은 오는 18일 '파이널 컷' 전시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새로운 형식의 공존을 시도하는 본 전시는 끝의 불안함과 시작의 설렘이 공존하는 상태에 있음을 고백한다. 완성에 도달하기 위한 마지막 순간을 암시하는 ‘파이널 컷’을 전시 타이틀로 명명한 이유도 바로 이런 뫼비우스의 띠와도 같은 끝과 시작의 영원한 맞물림 상태와 공존을 함축적으로 표현하기에 충분하기 때문이다.

전시 'FINAL CUT 파이널 컷'은 패션 브랜드 'POST ARCHIVE FACTION(PAF) 포스트 아카이브 팩션' (이하 ‘파프’)가 예술과 패션의 경계선에서 실현했던 여러 시도들 중 그들의 실험적이고 예술적인 특정 태도를 패션이 아닌 미술의 공간 속에서 구현해보려는 시도이다.
2018년 론칭한 남성복 브랜드 ‘파프’는 패턴의 과감한 해체와 전위적인 실험을 근간으로 하는 브랜드다. 더 이상 예술, 패션, 가구, 디자인 등 경계 나누기가 의미 없어지는 동시대에 예술적 실험을 자신들의 브랜드 구현을 위한 철학적 토대로 삼고 있는 ‘파프’의 여러 시도는 경계를 둘러싼 다양한 의문들을 가시화하고 의미를 부여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전시는 크게 두 개의 흐름으로 진행된다. 지하 공간에서는 ‘파프’의 예술적 토대들 중에서도 '패턴'을 개념화하는 데 집중한다. 패턴은 옷의 기초가 되는 가장 기본 형태, 즉 완성본이 실제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시작이면서 디자인이 최종 확정되는 단계다.
이는 시작과 끝이 공존하는 경계인데, ‘파프'의 아트 디렉터 에리카 콕스는 지하 공간에 옷에서 파생된 평면 패턴들을 확장해 만든 입체적 오브제, 즉 기존의 인식에서 벗어나버린 패턴들을 제시함으로써 중간 상태에서의 불확정적인 긴장감을 표출한다.
2층에서의 '패턴'은 지하층과는 다른 방식으로 진행된다. 지하 층에서의 ‘패턴’이 시각적 대상으로서의 접근이었다면, 2층에서는 행위와 실천으로서의 '패턴'으로 전환된다.
전시장에는 옷과 작품이 함께 진열된 구조물이 존재하고, 제대로 된 감상을 위해선 스스로 여닫는 퍼포먼스적 행위가 유도되면서 기존의 수동적 감상에서 적극적 참여로의 전환도 자연스럽게 요구된다.

지하에서 2층으로 연결되며 펼쳐지는 ‘파프’의 예술적 실험 공간은 그 공간의 원 거주자들인 미술작가들(김병호, 권오상, 김인배, 이지현, 노상호, 돈선필, 심래정, 장종완)의 개입으로 더욱 복잡해진다. 이들 작가들은 생소한 전시 방식 속에서 스스로의 패를 공개하듯 자신들의 패턴을 공개하고, 이는 파프의 구조물 속에서 조금씩 어긋난 형태로 구현된다.
'FINAL CUT 파이널 컷'은 끊임없이 무언가 끝나고 새롭게 시작하는 공존의 순간에 발생 가능한 변칙과 그로 인한 즐거움을 극대화해 제시하고자 했으며, 지속적으로 각자의 패턴을 깨고 새로운 패턴의 인식을 이루는 과정에서 발산되는 시지각적 즐거움을 충분히 만끽해보기에 충분한 전시다.
[사진=PAF, 아라리오갤러리 제공]
- DDP에서 싹이 튼다, '밤에도 빛나는 DDP_싹'展 개최
- [전시리뷰] 자연과 하나가 된 예술, '공명共鳴: 자연이 주는 울림'
- '유퀴즈' 출연 사진작가 라미(RAMI), 'PROJECT SOLDIER_kwv' 전시 개최
- 서울 전시회 추천, 미술이 문학을 만났을 때
- 이헌정 개인전 '흙의 일상' 18일 개최
- 경기생활도자미술관 제3회 '여주아티스트프리마켓' 개최
- 미술관, 코로나시대 New데이트코스로 거듭나
- ‘2021 F/W 서울패션위크' 이날치 출격...22일부터 비대면으로 공개
- 성북구립미술관 기획전시 '땅의 소리:김승영' 개최
- 한국도자재단, 어린이전시 '공예놀이터' 개최
-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 작가상 2020' 이슬기 수상
- 북서울미술관, 소장품 하이라이트전 '자연을 들이다: 풍경과 정물' 개최
